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요소
성분
처소
소재지
위치
뉴스
"
소재
"(으)로 총 4,95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3년 써도 배터리는 처음처럼?
과학동아
l
2014.07.15
게르마늄 입자 표면에 탄소가 결합된 독창적인 구조의 안정적인 리튬이온전지용 음극
소재
를 새롭게 개발했다. 이 전극을 이용해 전지를 만든 결과 1000번 이상 충ㆍ방전을 계속해도 성능이 99% 수준으로 유지됐다. 휴대전화를 매일 한 번씩 충전한다고 가정하면 3년을 사용해도 처음 성능이 거의 ... ...
녹였다 급속히 식힌 ‘비정질 금속’의 탄생 비화
과학동아
l
2014.07.08
독특한 성질을 띄기 때문에 스포츠 용품에서부터 특수한 우주용 부품까지 다양한 첨단
소재
로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비정질 금속이 만들어지는 과학적인 원리가 완전히 규명돼 있지 않아 지금까지는 경험에 의존하고 있던 실정이었다. 연구팀은 2010년 자체 개발한 ‘공중부양장치’로 금속을 ... ...
주석 비켜, 구리 나노와이어 납시오
과학동아
l
2014.07.07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와 양민양 KAIST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투명전극의
소재
로 널리 쓰이는 ITO를 대체할 수 있는 ‘구리나노와이어’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리를 나노미터(nm, 1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뽑아내 그물망처럼 만들면 기존 ... ...
[표지로 읽는 과학] 그래핀 차곡 차곡 쌓은 ‘이층 그래핀’
과학동아
l
2014.07.06
층 짜리 그래핀을 쌓아 만드는데, ‘그래핀은 한 층’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린 새로운
소재
다. 김 교수팀은 이번 주 사이언스 논문에서 이 이층 그래핀의 특성을 밝혀냈다. 김 교수팀이 이층 그래핀에 강한 전기장을 주자 이층 그래핀에서는 양자홀효과(Quantum Hall Effect, QHE)와 ... ...
[사이언스 브리핑] 과학동아 디지털매거진 발간 등
과학동아
l
2014.07.04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강대임) 나노
소재
평가센터 이우 책임연구원이 ‘알루미늄 양극산화와 나노기술 응용’을 주제로 한 이슈와 향후 전망을 ‘케미컬 리뷰’ 최근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케미컬 리뷰는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저널이 ... ...
네덜란드가 반한 한국 연구로 기술
과학동아
l
2014.07.04
급부상하고 있다. 연구로에서 핵연료가 분열할 때 나오는 중성자를 활용하면 각종
소재
를 분석하고 암 환자를 치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중성자의 에너지를 낮춘 냉중성자는 나노공학과 생명공학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냉중성자 설비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다. ... ...
최첨단 식물 공장, KIST 강릉분원을 가다
과학동아
l
2014.06.29
식물공장 시스템(u-FARM)'과 '초고속 천연물 탐색 시스템(iHTac)' 등을 이용해 다양한 천연물
소재
를 확보하고 중소기업 기술이전에 주력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을 찾았다. 오상록 분원장은 “KIST 강릉분원은 산과 들, 바다 모두와 인접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각종 천연물을 쉽게 ... ...
[과학계 소식] 방사선동위원소 저장·분배기술 이전 등
과학동아
l
2014.06.25
해외생물
소재
센터는 26일 오전 9시부터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해외생물
소재
확보 및 활용사업 연구 성과 발표회’를 개최한다. 2006년부터 세계 20여 국가로부터 확보해 온 다양한 식물자원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해 얻은 우수 연구 성과를 소개한다. ... ...
정전기로 분자들 쫙 줄세웠더니…
과학동아
l
2014.06.24
유기 분자를 고분자 지지체에 규칙적으로 정렬시켜 새로운 고성능 유기전자
소재
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유기반도체는 무기물로 제작된 기존의 전자소자와 달리 용액 공정을 통해 플라스틱과 같은 유기물에 코팅할 수 있다. 휘어지는 TV나 모니터, 태양전지 등에 쓸 수 있다. ... ...
휘어지는 e신문 개발 성큼
과학동아
l
2014.06.18
위키미디어 제공 국내연구진이 발광체로 쓰이는 양자점에 기능성 유기반도체를 결합해 색상 조절이 가능한 나노구조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주진수 ... “3~5년 안에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태양전지는 물론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 ...
이전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