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제작도 모두 이러한 공정을 답습한 것이다. 쉽게 말하면 실리콘 위의 움직이는 판화인
셈
이다.따라서 진짜 기계다운 기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마이크로 머신 공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마이크로 머신의 주재료인 실리콘 의존에서 탈피하는 것도 중요하다. 천연암석인 규소($ ... ...
화학- 이온과 전기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원소가 많이 포함된 것으로 생각했다. 전자가 비금속원소들이고 후자는 금속 원소인
셈
이다. 물질을 화학적 성질에 따라 금속과 비금속원소로 나누는 전통은 이때부터 생겨난 것이다.실험적인 수단을 통하여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물질을 원소로 생각한 라브와지에는 자신이 발견했거나 그 당시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말하자면 게놈이 '목표'라면 탄수화물 공학은 목표에 이르기 위한 '방법론'이 되는
셈
이다. 생명과학은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생물 화학 물리 로봇 전산 의학 약학 미생물학 등 모든 학문이 참여해야 가능하며, 그 진행과정에서 다른 과학 분야가 함께 발전하는 것이라는 그의 설명과도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첫째 꽃잎 하나를 막 피워내고 있었다. 우리 부부는 운좋은 부부임이 입증된
셈
이다.이 꽃이 피는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는 데다 스티로폴같은 두터운 꽃잎이 필 때는 와삭와삭 소리가 날 정도다. 꽃잎 한 장의 지름이 30㎝, 몸통과 반대편 꽃잎 끝까지의 지름은 90㎝가 넘는다. 무게는 9kg이나 된다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혈액을 내보내므로 한시간에 3백ℓ 이상, 하루에 약 8천ℓ 이상의 혈액을 방출하고 있는
셈
이다.심장은 한번 박동할 때마다 꼭같은 양의 혈액을 폐로 보내므로 전체적으로 심장이 하루에 내보내는 혈액의 양은 위에서 계산한 것의 2배로, 하루에 약 1만6천ℓ가 된다. 무게로 환산하면 하루에 약 16t이나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있다. 이렇게해서 시골은 도시의 식탁과 폐기물처리장 기능을 동시에 해 주고 있는
셈
이다.문제는 도시가 자기의 기능수행에 필요한 음식물(에너지원)을 공급하며 자기들이 만들어 놓은 배설물을 처리해 주는 시골의 고마움을 모르고 그에 걸맞는 보살핌을 베풀지 않는 데 있다. 우리가 식탁과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된다.결국 이 땅의 자연회복, 즉 고유식생(native vegetation)으로의 천이가 크게 방해받는
셈
이다.사방용으로 용재용으로 들여와 요즘은 밀원(蜜原)으로도 크게 강조되고 있는 아카시나무는, 우리 숲정이의 애물단지(source of trouble)가 돼버린 것이다. 사실은 이 땅의 기후와 토질에 적응하여 저절로 ... ...
고급언어를 알아듣는 한국 최초의 컴퓨터 가동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컴퓨터(PC)의 가격이 1천달러 정도니까 20여년 사이에 컴퓨터 값이 1천분의 1로 떨어진
셈
이다. 또 당시 손꼽을 정도였던 컴퓨터 보급대수가 지금은 2백만대를 넘어섰다니 격세지감을 느낀다 ... ...
고등 동물일수록 뇌의 휴식이 필요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7, 8시간을 잔다. 요즘은 평균수명이 연장돼 70~80년을 산다고 하면 25년 가까이 잠을 자는
셈
이다. 아까운 인생의 1/3을 잠으로 허비하는 것이다. 왜 인간은 25년씩 잠을 자지 않으면 안될까. 또한 사람이외의 동물은 어떤 방식으로 잠을 자는 것일까. 다음은 '과학아사히' 최근호에 실린 수면에 관련된 ... ...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점을 고려할 때 크낙새의 주서식지의 북부 한계선은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다소 북상한
셈
이다. 그러나 이전에는 전북과 경남에도 살았다.크낙새는 숲속의 외과의사로 불린다. 이는 크낙새가 삼림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의미한다. 이들은 밤나무 포플러 상수리나무의 수피와 목질부를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