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과학동아 l1993년 05호
- "말하자면 게놈이 '목표'라면 탄수화물 공학은 목표에 이르기 위한 '방법론'이 되는 셈이다. 생명과학은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생물 화학 물리 로봇 전산 의학 약학 미생물학 등 모든 학문이 참여해야 가능하며, 그 진행과정에서 다른 과학 분야가 함께 발전하는 것이라는 그의 설명과도 ... ...
- 라플레시아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첫째 꽃잎 하나를 막 피워내고 있었다. 우리 부부는 운좋은 부부임이 입증된 셈이다.이 꽃이 피는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는 데다 스티로폴같은 두터운 꽃잎이 필 때는 와삭와삭 소리가 날 정도다. 꽃잎 한 장의 지름이 30㎝, 몸통과 반대편 꽃잎 끝까지의 지름은 90㎝가 넘는다. 무게는 9kg이나 된다 ...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과학동아 l1993년 05호
- 혈액을 내보내므로 한시간에 3백ℓ 이상, 하루에 약 8천ℓ 이상의 혈액을 방출하고 있는 셈이다.심장은 한번 박동할 때마다 꼭같은 양의 혈액을 폐로 보내므로 전체적으로 심장이 하루에 내보내는 혈액의 양은 위에서 계산한 것의 2배로, 하루에 약 1만6천ℓ가 된다. 무게로 환산하면 하루에 약 16t이나 ...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5호
- 가까울 때 35만6천4백㎞다. 평균값은 약 38만4천4백㎞쯤 되는데, 지구 반경의 약 60만배인 셈이다.빛이 달까지 도달하는 데는 1.3초 걸리고 지구를 도는 달의 속도는 매초 1㎞정도다. 달의 지름은 3천4백76㎞로 지구 지름의 1/4, 체적은 지구 부피에 비해 1/50, 질량은 1/81이며, 달표면의 중력은 지구중력의 1/6 ...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제작도 모두 이러한 공정을 답습한 것이다. 쉽게 말하면 실리콘 위의 움직이는 판화인 셈이다.따라서 진짜 기계다운 기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마이크로 머신 공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마이크로 머신의 주재료인 실리콘 의존에서 탈피하는 것도 중요하다. 천연암석인 규소($ ... ...
- 고등 동물일수록 뇌의 휴식이 필요과학동아 l1993년 04호
- 7, 8시간을 잔다. 요즘은 평균수명이 연장돼 70~80년을 산다고 하면 25년 가까이 잠을 자는 셈이다. 아까운 인생의 1/3을 잠으로 허비하는 것이다. 왜 인간은 25년씩 잠을 자지 않으면 안될까. 또한 사람이외의 동물은 어떤 방식으로 잠을 자는 것일까. 다음은 '과학아사히' 최근호에 실린 수면에 관련된 ...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과학동아 l1993년 04호
- 된다.결국 이 땅의 자연회복, 즉 고유식생(native vegetation)으로의 천이가 크게 방해받는 셈이다.사방용으로 용재용으로 들여와 요즘은 밀원(蜜原)으로도 크게 강조되고 있는 아카시나무는, 우리 숲정이의 애물단지(source of trouble)가 돼버린 것이다. 사실은 이 땅의 기후와 토질에 적응하여 저절로 ...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과학동아 l1993년 04호
- 있다. 이렇게해서 시골은 도시의 식탁과 폐기물처리장 기능을 동시에 해 주고 있는 셈이다.문제는 도시가 자기의 기능수행에 필요한 음식물(에너지원)을 공급하며 자기들이 만들어 놓은 배설물을 처리해 주는 시골의 고마움을 모르고 그에 걸맞는 보살핌을 베풀지 않는 데 있다. 우리가 식탁과 ... ...
- 고도의 치료법을 터득한 침팬지과학동아 l1993년 04호
- 그 후 이 침팬지는 똑같은 행동을 하는 것이 3번이나 목격됐다. 일종의 도구를 사용한 셈인데 같은 무리 중 이같은 행동을 모방하는 침팬지는 아직까지 없었다. 니시다 교수는 "침팬지는 콧물이 나오면 보통 그것을 손에 묻혀 먹어버리는 것이 상례인데, 나뭇잎을 이용해 코를 푸는 치료법을 동원하는 ... ...
- 발명과학동아 l1993년 04호
- 기발한 아이디어만 있으면 이젠 수중에 돈이 없어도 사업가가 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는셈.발명이 완성되면 즉시 특허청에 가서 특허출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내용의 발명이라면 누가 먼저 출원을 했느냐에 따라 특허권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학생들의 발명을 유도하기 ... ...
이전4634644654664674684694704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