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스팍 박사는 바위를 증발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바위는 가위를 부러뜨려 이긴다.
예
를 들어 A와 B 둘이서 묵찌빠를 할 때, 처음의 가위바위보에서 A가 보(빠)를 내고 B는 바위(묵)를 냈다고 하자. 이때 A는 묵, 찌, 빠의 세 가지 방법으로 공격할 수 있다. B를 위한 불패 전략은 오직 한 가지 소리에만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떼지 않고 도형을 그리는 문제인 한붓그리기는 단순화시켜서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예
다. 쾨니히스베르크라는 도시의 다리 7개를 딱 한 번씩만 건널 수 있느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일러는 도시의 지도를 점과 선으로 된 도형으로 만들었고, 그 결과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붓그리기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Epilogue_걸리버는 공중도시 라퓨타를 떠난 이후 고상하고
예
의 바른 말들이 사는 휴이넘의 나라를 거쳐 마침내 집으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장장 16년 7개월에 걸친 여행기를 자세히 기록해 발표했지요. 걸리버의 여행기는 사람들에게 미지의 세상과 그 안에 숨은 재미있는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결과 글을 읽는 능력이 개선됐음을 확인했다. 이 프로그램은 7단계로 이뤄졌는데,
예
를 들어 두 음의 차이를 점차 좁혀 가며 음을 구별하는 능력을 키우는 방식이다. 프로그램을 마친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을 측정한 결과 좌뇌의 측두두정엽 영역과 전두엽 영역이 정상 아동과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싼 전기료’를 통해 가계의 형편을 개선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지지가 클 것으로
예
측된다. 우리의 일상을 크게 바꿔 놓을 스마트 그리드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대변을 통해 배출된다. 풍선을 일정 기간 동안 몸속에 넣어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 분만
예
정일이 지났는데도 자궁이 수축하는 분만 징후가 없는 경우에도 풍선을 사용한다. 임산부에게 자궁을 수축시키는 약물을 먹이고 질 안에 풍선을 넣어 부풀리면 자궁 입구가 열리면서 태아의 분만을 유도할 수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회로를 갖추게 됐음을 의미한다.이 결과가 발표되자 흥미로운 카툰이 많이 나왔다.
예
를 들면 한 사람이 돼지를 가리키며 옆 사람에게“저 녀석이사람의 유전자를 받은 돼지야”라고 말하자 옆에서 지켜 보던 돼지가 “저녁 메뉴가 뭐죠? 설마 전 아니겠죠”라고 말하는 장면이다. 돼지까지는 ... ...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소금과, 스프레이 진공건조방법으로 고운 입자 결정을 만들어낸 소금이 대표적인
예
다. 함경식 소장은 미국 조지아대에서 생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1997년부터 목포대 식품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관심을 못 받아왔던 천일염에 대한 연구를 2003년부터 시작해 지금은 국산 천일염의 ... ...
국산 앱스토어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복호화 키는 수신자만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암호문을 해독할 수 없다.
예
를 들어 A가 B에게 암호화된 정보를 전달할 때 A는 B가 공개한 암호화 키를 이용해 암호로 만든 메시지를 보낸다. B는 자신의 복호화 키로 암호문을 해독하기 때문에 중간에 해킹당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킬러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참여했다.한편 공 모양이 아니라 다른 형태이면 어떤가 하는 문제도 흥미롭다.
예
를 들어 물질을 이루는 분자의 모양은 대부분 공 모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경우는 케플러의 문제보다도 더 어렵다. 과학저널 ‘네이처’ 8월 13일자는 크기가 같은 정사면체를 가장 빽빽하게 쌓은 세계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