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식물에게 있어 빛은 에너지의 근원이다. 광합성은 식물세포 안에 있는 엽록체라는
작은
기관이 담당하는데, 햇빛을 받은 식물은 물을 수소이온, 전자, 산소로 분해한다. 이때 이산화탄소가 대부분의 수소이온과 전자를 받아들여 유기물질로 바뀌고 최종결과물인 녹말이나 설탕과 같은 탄수화물이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찾아 헤매거나 포식자의 위협에서 도망치는 데 힘써야 살아남을 수 있다.동물원 속에
작은
‘야생 환경’ 만든다긴 갈기를 휘날리며 드넓은 초원을 달리던 ‘백수(百獸)의 왕’ 사자는 비좁은 사육장 안에서 생활하며 사냥할 필요가 없어졌다. 햇빛이 드는 양지바른 곳에서 낮잠을 자며 ‘백수’ ... ...
물질계 만능엔터테이너 초임계유체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초임계유체 없이는 절대 만들 수 없는 물질이다. 에어로젤을 확대해서 보면 10nm크기의
작은
구멍이 스펀지처럼 수없이 많이 있다. 이런 미세한 구멍은 열이나 전기를 차단하는 특성을 가진다. 덕분에 에어로젤은 단열성이 뛰어나서 건축자재나 방한복, 우주탐사선의 단열재 등으로 유용하게 쓰인다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상단의 나무틀에 8개 하단에 8개의 경석을 매달은 형태이며 소뿔로 만든 ‘각퇴’라는
작은
망치로 경석의 끝부분을 쳐서 소리를 낸다.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이숙희 학예연구사는 “편경은 12율4청성(十二律四淸聲)을 내며 두께가 두꺼울수록 음이 높다”고 설명했다. 두께가 두꺼울수록 편경의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설탕은 전기적인 극성이 없으므로 물과 결합력이 약해서 수소 결합을 방해하는 정도도
작은
편이다. 즉, 소금 대신 설탕이 녹아있는 바다는 어는점 내림의 효과가 작아서 더 높은 온도에서 얼기 시작할 것이다. 3) 그래프에서 최대 밀도 직선의 기울기가 어는점 직선의 기울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 ...
방송국에 숨어 있는 빛과 소리의 마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특별히 볼륨이 크다면 조화가 깨진다. 같은 팀이라도 선천적으로 목소리가 큰 멤버와
작은
멤버가 있고, 오케스트라에서도 악기마다 볼륨이 다르기 때문이다. 음향팀은 리허설 때 부르는 노래 소리를 듣고 크게 들리는 채널은 볼륨을 줄이고, 음색이 굵은 채널은 가늘게 만들어 모든 채널에서 나오는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있는 셈이다.유효질량전자가 도체 안에서 움직일 때 느끼는 질량증착금속이나 비금속의
작은
조각을 진공 속에서 가열해 증기로 만들어 물체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다.홍병희 교수는 1998년 포항공대 화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 컬럼비아대 ... ...
4단 변신 로봇 포인원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등장해 인기를 끌었던 영화 ‘트랜스포머’.그 후속편이 오는 6월에 개봉될 예정이다.
작은
트랜스포머를 미리 만나보자.몸은 하나지만 4가지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는 로봇이 나왔다.바로 ‘포인원(4in1) 변신 로봇’이다.영화 ‘스타워즈’의 알투디투(R2D2)처럼 생긴 포인원은 몸통은 변하지 않지만 ... ...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5년 이후에나 첫 증거가 발견됐다”고 말했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닐 에반스 교수팀이
작은
분자운 B335를 전파로 관측해 아기별로 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포착한 것이다. B335는 지구에서 독수리자리 방향으로 800광년 떨어져 있는 분자운이다.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센터 이창원 박사팀은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연구진은 금속 표면에 만든 나노 구멍이 마치 깔때기에서 물이 통과하는 것처럼 빛을
작은
점에 집속시켜 통과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빛이 나노 구멍을 통과하면 금속 표면에서 전자들이 집단으로 진동하면서 구멍 주변에 전하가 모이는데, 이 전하가 형성한 전기장이 깔때기 효과를 일으키는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