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일본식 누룩이 아닌 우리나라 고유의 누룩을 되살리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첫 성과는 가장 향과 맛이 뛰어난 전통누룩으로부터 미생물을 발굴해 유전자 지도를 완성한 것. 살구, 바나나, 파인애플과 같은 과일 향을 내는 에스테르 성분을 많이 만들어내는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만났다.◀Xi Dai 시 다이중국과학원 산하 물리학연구소 교수세계에서 양자물질을 가장 잘 예측하는 연구자 가운데 한 명2015년 바일 준금속이 나올 수 있는 물질을 예측하고 2015년 바일 준금속 발견에 공헌박사학위까지 중국에서 취득한 국내파로, 중국의 ‘과학굴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 중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화합물과 철-닉토겐 화합물 두 종류가 있는데, 학계에서는 두 초전도체에서 초전도의 가장 중요한 성질인 임계온도를 결정하는 조건이 다르다고 생각해 왔다. 철 기반 초전도체의 에너지 띠에는 전자가 차 있는 표면인 페르미 면이 두 개 존재하는데, 둘의 모양이 유사한 것을 ‘네스팅 조건’이라고 ...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컴퓨터는 나와 닮은 사람끼리 그룹을 만들어. 새로운 사용자가 등장하면 그 사람과 가장 비슷한 그룹에 넣기만 하면 되지. 내 그룹 구성원 중 볼빨간사춘기의 노래 칸에 ‘1’이 오는 사람이 많다면 내 빈칸에도 1을 넣을 거야. 그룹을 만드는 걸 군집화, 새로운 사람을 그룹에 넣는 걸 분류, 이 모든 ... ...
- Part 3. 실내 공기는 깨끗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화학제품에서 나온 각종 유해물질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어요.실내 오염물질을 없애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환기예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30분 간 창문과 문을 열어 환기의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의 양은 약 8분의 1, 일산화탄소는 약 5분의 1 등으로 ... ...
- [가상인터뷰] 개코원숭이도 “아에이오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꼬리 길이를 포함한 몸길이가 100cm 내외로, 몸무게가 40kg을 넘지 않아 개코원숭이 중에서 가장 작다고 알려져 있지요.연구팀은 기니개코원숭이 총 15마리의 구강과 울음 소리를 조사했답니다. 우리의 혀 모양과 근육을 분석한 결과, 모음을 발음할 때 필요한 혀 근육이 발달해 있다는 사실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기자단 친구들이 탄성을 질렀어요. ‘마스터 태권브이’는 13m의 크기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로봇 모형이랍니다.‘로봇팩토리’에서는 김청기 감독님이 직접 들려 주시는 태권브이 이야기를 3차원 입체 영상인 홀로그램으로 감상할 수 있어요. 어린시절 주전자를 머리에 써 보고 싶어 깡통 ... ...
- [과학뉴스] 플랑크톤처럼 움직이는 소형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신호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얕은 바다를 탐험하는 것은 이 로봇의 가장 큰 강점이에요. 기존의 로봇은 강한 해류를 견디며 위치를 유지하기가 어려웠어요. 반면 M-AUE는 5시간의 수중 실험에서 10m 아래로 잠수해 지속적으로 위치를 유지하며 데이터를 전송했지요. 연구를 이끈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더해진다면 우리의 상상력으로는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가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가장 쉽게 상상할 수 있는 것이 센서 분야다. 방 안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식물이 감지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생체 반응을 늘리거나, 습도가 높아지면 물을 많이 흡수하는 생체 반응이 활발해지도록 할 ... ...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상태의 냄새 성분보다 배당체의 형태인 것이 5배 이상 많습니다. 연구팀은 냄새 성분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특징인 친유성과 휘발성을 이용했습니다. 즉, 유기용매를 이용해 냄새 분자를 추출하고, 고진공 조건에 넣어 휘발하는 성분들을 영하 196℃의 액체 질소에 포집하는 전략을 썼습니다. 이렇게 ... ...
이전4644654664674684694704714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