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64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식물도 스트레스 받으면 '울음소리'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연구 결과를 30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셀'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선 토마토·밀·옥수수·선인장·광대나물 등이 발산하는 소리가 처음으로 녹음됐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에서는 식물에 부착된 진동계에 일정한 진동이 기록된다는 사실이 확인됐지만 녹음할 수 있을 정도의 소리인지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2023 퓨처 모빌리티상' 시상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도 완전한 단결정 형태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에너지'에 30일(현지시간) 게재됐다. 이번 연구 결과를 적용한 전지의 성능을 측정했다. 일반적인 공정으로 합성한 다결정 소재(NCM811)와 같은 조성의 단결정 양극소재를 리튬 메탈전지에서 ... ...
"한계도전 R&D, 실패 같지만 성공한 연구 나와야 성과 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원장은 “창의적 연구 아이디어를 얻고 새로운 지식을 얻는 데 있어 경계 없는
학술
교류와 폭넓은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밝혔다 ... ...
위협적인 티라노사우루스 이빨, 입술에 가려 안보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피부로 만들어진 ‘입술’에 덮여 있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30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새의 조상으로 알려진 수각류는 이족 보행을 하는 공룡이다. 날카롭게 발달한 이빨과 발톱으로 사냥을 한다. 티라노사우루스, 벨로시랩터, 알로사우루스 등 대부분 육식공룡이 ... ...
뇌에 빔 프로젝터 쏴 만든 뇌 연결지도..."뇌 구조·기능 심층연구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최명환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이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뉴런’에 게재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이 빔 프로젝터로 빛을 쏜 것은 광유전학을 활용한 것이다. 광유전학은 ‘빛’과 ‘유전학’을 결합한 말로 유전학적 기법을 활용해 특정 세포에 빛을 감지할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팀, 이산화탄소→바이오플라스틱 생산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이현주(왼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이상엽 특훈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이현주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 ... 밝혔다. 유전적 진단, 면역학적 표시 등의 분야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국제
학술
지 ‘나노레터스’에 지난달 3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시골서 자라면 키 작다'는 옛말...도농간 청소년 신장 격차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도시와 시골에 사는 청소년들 간 성장 양상 차이가 거의 사라졌다는 분석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30일 발표했다. 앞서 1990년대만 해도 청소년기 거주 지역에 따라 성장 속도에 차이가 두드러진다는 연구 결과가 지속됐지만 반 세기도 지나지 않아 학계에서 통용되던 상식이 뒤바뀐 셈이다. ... ...
VR게임 하는 생쥐 뇌로 장기 기억 형성 비밀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이 기억 저장에서 주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30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셀’에 발표했다. 시상은 뇌 중앙에서 꼭대기에 있는 부위로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다시 정보를 처리하는 각 부위로 전달하는 곳이다. 금방 잊혀지는 기억과 오랫동안 남는 기억이 뇌에서 어떻게 ... ...
[오늘과학] "개·고양이와 함께 자란 아이, 음식 알레르기 덜 걸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0
나왔다. 히사오 오카베 일본 후쿠시마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분석을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에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연구팀은 출생 코호트 연구 데이터베이스인 ‘일본 환경 및 아동연구’를 활용했다. 코호트 연구는 특정 요인에 노출된 집단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추적하고 ... ...
"인간 수명 한계 아직 '최대' 아냐...1950년대 이후 출생 평균수명 급증"
동아사이언스
l
2023.03.30
사망연령이 더 높아져 최장수 기록도 경신될 것이라는 분석결과를 2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보건의료 체계가 발달한 현대사회에 접어든 이후 일정한 경향성을 유지했던 연령별 사망률이 1950년대 이후 출생자에게서 급격히 바뀌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195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