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스페셜
"
지난
"(으)로 총 5,28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유전적인 다양성이 낮은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분석 결과로
지난
2만 년 동안 여행비둘기의 개체수가 안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팀은 여행비둘기의 많은 개체수가 빠른 멸종의 위험성을 높였다고 주장했다. 샤피로 교수는 “여행비둘기들은 처음엔 환경에 신속하게 ... ...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연초 담배보다 95% 이상 낮게 측정됐으며, 사람 세포에 쏘였을 때도 문제가 없었다고
지난
9월 학술지 ‘독성조절 및 약학’에 발표했어요. 궐련형 전자담배가 안전하다는 것이죠. 하지만 앞서 밝힌 사례처럼 액상형 전자담배에서 니코틴이 연초 담배보다 많이 검출됐다는 연구, 액상형 전자담배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백색광에 비해 훨씬 더 마음을 편하게 한다고 답했다. 연구자들은 첫 방에서 5분 정도
지난
뒤 두 그룹 모두 RG값이 약간 커지는 현상에 대해서 참가자들이 상황에 적응하면서 지루함을 느껴 스트레스 수준이 약간 올라간 것 같다고 추측했다. 즉 파란빛은 스트레스 직후 몇 분 동안만 강한 이완효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성공했다. 당시 연구를 주도한 로버트 란자 박사는 상용화를 자신했지만 9년이
지난
지금은 아직은 먼 얘기라고 한 발 물러섰다. 배양 비용을 낮추는 게 생각보다 어렵기 때문이다. - Blood 제공 ● 배양 비용, 여전히 걸림돌 걱정스런 기사를 읽다가 문득 수년 전 과학동아 기자를 할 때 줄기세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중간의 굵은 가로선은 일본정부가 정한 허용치로 kg당 100베크렐이다. 사고가 나고 4년이
지난
시점에서 부어류(pelagic fish. 파란 동그라미)의 수치는 모두 허용치 아래이고 저서어류(갈색 동그라미)도 대부분 아래다. 반면 원전 항구에 사는 저서어류(갈색 x)는 꽤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여전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너무 컸고 이런 와중에 드레버가 중증의 치매로 투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드레버가
지난
해 중력파 검출 발표장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못한 이유다. 창립 멤버 세 사람을 선정하는 게 모양새는 가장 좋지만 어차피 드레버는 시상식에 오지 못 할 것이고 어쩌면 자신의 수상 사실도 인식하지 못할지도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돼 왔지만, 아직 명확한 결론이 나지 못한 상태다.
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센터마크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백두산 화산 국제학술회의’에서도 이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일본 토호쿠대 다펑자오 교수가 제1회 백두산 화산 국제학술회의 에서 자신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차이는 없었다. 무척 간단한 실험이지만 결과가 함축하는 바는 심오하다. 즉 돌이 갓
지난
아기도 어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그 결과 성공하는 모습을 보면서 끈기가 성공의 중요한 요소임을 간파할 수 있다. 게다가 이를 일반화해 어른의 과제와는 다른 자신의 과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 중국에서 두 경로로 유입된 듯 그사이 중국 산둥대의 교수직도 겸하게 된 유 교수는
지난
해 학술지 ‘플로스원’에 SFTS바이러스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논문을 실었다.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에서 운영하는 게놈 데이터베이스인 진뱅크(GenBank)에 등록된 122개 SFTS바이러스 게놈을 비교분석한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유전자만 편집된 개체이기 때문에 유전자재조합생명체(GMO)가 아니라는 말이다. 참고로
지난
달 일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파란 국화의 경우 다를 식물 두 종(초롱꽃과 나비콩꽃)의 유전자가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이번 시도가 크리스퍼/캐스9 시스템을 사용해 꽃의 색을 바꾼 최초의 시도라며 앞으로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