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있던 김유겸 군은 자동으로 작곡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백만 개의 곡을 만든 비결이다.결과를 본 부원들이 기쁨의 소리를 질렀다. 자신들이 만든 점수표에 따라 매긴 곡 점수의 확률 분포가 정규 분포 곡선으로 나타난 것이다. 교과서에서 배우던 정규 분포 곡선이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사실 아까부터 하림이 기다리는 게 있었다.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에게서 수백 개씩 들어오는 생일 축하 메시지 따위에는 관심도 없었다. 유일하게 의미 있는 축하 메시지가 있었다. 바로 엄마가 보내는 편지였다.하림의 엄마는 하림을 낳은 직후에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수많은 사람이 이유를 ... ...
- [과학뉴스] 원숭이가 말 못하는 진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결과 원숭이의 발성구조는 이전에 알려져 있던 것보다 훨씬 더 유연하고, 심지어 모음을 5개 정도 발성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연구팀은 원숭이의 음성을 모아 ‘나와 결혼해 주겠니(Will you marry me)?’라는 소리로 편집해 인간의 음성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주파수 스펙트럼이 거의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으며, 역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해 건강을 증진시키는 콘텐츠도 개발하고 있다. 부정적인 면을 줄이고 긍정적인 면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다. 또 언젠가는 홀로그램 기술을 실현시켜 아무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실감나게 가상세계를 즐길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0만 개 이상이 되면 품질이 급격히 떨어진다”며 “학습 데이터의 단어 벡터가 10만 개 이상이 되면 그 중 사용 빈도수가 낮은 단어들은 따로 분류해 모두 동일한 벡터 값을 가지게 한다”고 말했다. 평소에 쓰지 않는 학술용어가 소리 나는 대로 번역되거나, 번역되지 않고 그 단어 그대로 나오는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벗어나지 못했고, 시스템 단위의 아키텍처 설계 또한 지연되고 있습니다. 3진법 소자 개발이 가장 우선이지만 그 다음 단계의 연구까지도 함께 이뤄져야 3진법의 패러다임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0과 1을 넘어서, 3진법 엔지니어링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9개에 속한 약 2400개의 세페이드 변광성과, 그보다 더 먼 곳에 있는 Ia형 초신성 300여 개를 관측해 허블 상수가 약 74(km/sec)/Mpc라고 주장했다. 1Mpc(메가파섹·빛이 326만 년 가는 거리) 떨어진 두 은하가 1초에 74km씩 멀어진다는 뜻이다. 기존에 플랑크 위성이 관측한 우주배경복사에서 도출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밝혀졌다. 또, 두 은하단이 충돌하는 동안 한 은하단의 어떤 물질은 다른 은하단의 모든 개체를 상대적으로 쉽게 통과했어야 했다. 수정뉴턴역학으로는 이를 설명할 수 없었다.암흑물질은 우주의 생성 과정에도 필수다. 현대우주론의 관점에서 우리가 관측한 은하의 분포는 암흑물질이 존재해야만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뒤 일본 시마네현에서 만날 것이기 때문이다. 그때쯤이면 수마트라 지진의 비밀이 한두 개쯤은 밝혀져 있으리라.지난 가을 경주에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해 우리나라도 그 어느 때보다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크다. 일단 지진이 발생한 후에는 피해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피해를 획기적으로 ... ...
- [새 책] “ 나, 리처드 도킨스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독약 덕후였달까. 그의 첫 추리 소설 ‘스타일스 저택의 괴사건’(1920)은 의학 저널에 소개됐으며, “매우 정확하게 쓰였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크리스티의 추리 소설에 매혹됐던 독자는, 이제 이 책을 통해 그 서사의 이면에 자리 잡은 과학적 진실과 마주한다. 크리스티가 그 지식들을 작품 ... ...
이전4654664674684694704714724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