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여드름 안녕~!” 봉독으로 만든 여드름 치료제 임상시험 돌입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봉독이 들어 있지 않은 약물과 봉독 함량이 2배 차이 나는 두 종류의 약물을 시험하기
시작
했다. 하루 2회씩 총 12주 동안 치료제를 바른 뒤 용량에 따른 치료 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를 담당한 한상미 농업연구관은 “1년 가량 임상실험을 진행한 뒤 이르면 2016년 후반부터 치료제를 시판할 것”이라고 ... ...
[과학뉴스] 지구 나무 절반으로 줄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나무는 총 3조 그루. 10년 전 예상했던 수치(4000억 그루)보다는 7배 많지만 인류 문명이
시작
된 1만2000년 전에 비하면 46%나 감소한 수치다. 연구진은 매년 벌목으로 19만km2의 숲과 100억 그루의 나무가 사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크라우더 연구원은 “나무와 숲을 잃지 않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적절한 ... ...
[이달의 사물] 천일염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늘리기 위해 폴리염화비닐(PVC)을 바닥에 깔면서부터 천일염은 의심의 눈초리를 받기
시작
합니다.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잔류성 유기오염물질(농약 등)이 소금에 밴다는 의혹입니다. 수많은 과학자들이 연구했지만 아직까지 그 누구도 속 시원하게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직전에 가서야 저자 순서를 결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반면 선진국에선 연구를
시작
하기 전 저자 순서와 역할을 미리 정하고, 중간에 역할이 바뀔 때마다 협의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갈등이 생길 여지가 훨씬 적다. 이런 문화를 제도화시켜 강제하는 게 저자 사전 등록제다.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완벽한 채식 음식인데다 영양도 풍부하다. 사실 김치야말로 단순한 채소 절임에서
시작
해 어느 순간 물 건너온 배추에 갖은 양념을 버무리게 됐고, 임진왜란 이후에는 화룡점정인 붉은 고추를 넣는 등 변신에 변신을 거듭한 음식 아닌가.김장보너스는 왜 생겼을까고려~조선시대 남성들이 쓴 시에는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시작
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PART3. 외계행성 탐사 ... ...
[과학뉴스] 목성 표면을 ‘둥둥’ 신개념 탐사선 아이디어 발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JPL) 는 민들레 씨앗처럼 바람을 타고 하늘을 떠다닐 수 있는 목성 탐사선을 연구하기
시작
했다고 7월 22일 발표했다. 기체로만 가득 차 있는 목성을 탐사하기 위해선 공중에 장기간 떠 있을 수 있는 탐사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온·고압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치는 목성 표면에서 버티려면 에너지가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구성됐다.이들의 여정은 다산기지로 향하는 마지막 관문, 노르웨이 롱이어비엔에서
시작
됐다. 7월 31일 정오 무렵 롱이어비엔 공항에 도착한 이들은 이곳에서 간단한 식생 탐사를 했다.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낯선 풍광 속에서 북극황새풀 등 북극권 특유의 식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어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수행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모기 12종에서 똑같은 결과가 나타났다.이 연구를
시작
으로 그동안 몰랐던 정액의 역할들이 속속 밝혀졌다. 정액에 들어있는 수백 가지의 단백질이 암컷 몸 안의 수용체와 만나 반응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곧 밝혀졌다. 정액 단백질(SFPs)은 암컷이 짝짓기를 다시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사 두 분 말씀 잘 들었습니다. 그럼 먼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후보에 대한 질문부터
시작
하겠습니다.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 말로는 수 년째 듣고 있는데요. 그게 정말 가능합니까. 기다리던 국민들로부터 ‘못 믿겠다’는 볼멘소리가 들려오고 있습니다.F 가능합니다. 간단한 이유부터 설명하자면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