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버리지 못하고 있지 않은가.애플 매킨토시 탄생시킨 GUI의 충격1979년 제록스 팔로알토 연구소. 스티브 잡스는 모니터를 응시하며 적잖은 충격을 받는다. 그 충격은 후일 그의 회고에 잘 나타나 있다.“그들은 세가지를 보여줬다. 그렇지만 첫번째 것에 정신을 잃은 나머지, 다른 두가지는 눈에 ... ...
- 메이슨 과학의 역사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몇년 간 그곳에서 화학과 과학사를 강의했다.이후 런던의 웰컴 연구소(Wellcom Institute)에서 특별연구원으로 일했으며, 1956년 부터 영국의 엑스터대에서 물리화학 및 분광학 담당교수로 근무했다. 1964년에는 이스트 엘글리아대에서, 그리고 다시 1970년에는 런던대의 킹스 ... ...
- 실험실에서 상업용 발전소까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성공해 약 1.5-2MW의 핵융합에너지가 방출됐다. 1994년에는 미국 프린스턴 플라스마 물리연구소의 TFTR 토카막이 D:T=5:5 비율의 혼합연료를 사용해 10MW의 핵융합 에너지를 방출하는 기록을 달성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1996년 문을 닫았다. 2년 후 다시 JET에서 D:T=5:5 비율의 혼합연료를 사용해 16MW의 핵융합 ...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1999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은 2006년 완성을 목표로 스위스 유럽 공동원자핵연구소(CERN)의 입자가속기와 연동해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국내에서도 정보통신부가 국가 그리드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기로 했다. 2002년부터 5년간 4백35억원을 투입해 그리드 ... ...
- 현실화되는 인간복제 어떻게 볼 것인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점점 현실로 다가오는 인간복제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1996년 영국 에든버러의 로슬린연구소에서 최초의 복제동물 돌리가 태어났다. 돌리가 탄생한지 불과 5년. 그동안 소, 돼지, 쥐, 원숭이 등 다양한 복제동물이 전세계 곳곳에서 태어났다. 현재 생명복제기술은 원하는 모든 동물의 복제가 ... ...
- 단어 배우는 로봇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로봇에게 단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말이다.소니 컴퓨터연구소의 럭 스틸 연구원은“로봇은 단지 인간 두뇌의 일부만을 모사할 수 있으며, 로봇에게 말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좀더 많은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을 통해 어린아이들이 ... ...
- 배아줄기세포로 뇌신경세포 분화에 성공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차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정형민 교수팀은 살아있는 쥐의 뇌에 배아줄기세포를 이식해 뇌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고 11월 22일 밝혔다.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실험은 쥐의 수정란을 3.5일 동안 키워 만든 배반포에서 세포덩어리를 분리해 체외에서 배양한 뒤 배아줄기세포주를 ... ...
- 노벨상 도전하는 세계적 과학자 양성 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특히 수학∙과학 교사는 박사학위 소지자가 70% 이상으로 충원된다. 그리고 대학교수와 연구소의 연구원을 겸임교수 또는 사사교수로 위촉해 대학에서의 위탁교육이 이뤄지도록 한다.과학영재학교를 졸업한 학생의 대학진학은 어떻게 될까. 우선 현행 과학고 학생은 2학년을 마치고 KAIST에 ... ...
- 완성된 공룡 멸종 시나리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없는 확실한 증거가 최근 사이언스지에 발표됐기 때문이다.뉴질랜드 국립 지리·핵과학 연구소(GNS)의 고생물학자 크리스 홀리스와 이안 렌, 그리고 스위스 연구가 비비 바드자 등 3인 조사팀은 뉴질랜드 ‘사우스’섬의 서부해안에 발견한 탄화된 작은 꽃가루들을 증거로 이같이 주장했다.지금까지 ...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일본, 러시아 등이 참여하는 ITER와 미국의 TPX가 그것이었다.미국 프린스턴 플라스마물리연구소에서 야심차게 설계하던 TPX는 플라스마에 비해 토카막 장치의 진공 용기가 크다는 특징이 있었다. 플라스마의 크기는 K스타와 비슷하지만 용기 전체 크기가 훨씬 커 제작비와 유지비가 더 많이 드는 ... ...
이전4654664674684694704714724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