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유전자변형쥐를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더 많은 과학자들과 시설이 한가지 목표를
위
해 집중할 수 있으니까요. 더 좋은 건 앞에서 말한 것처럼 쥐의 새로운 형질을 찾기가 쉽기 때문에 특허를 내기에 유리해진다는 거예요. 심지어 남이 만든 유전자변형쥐라고 하더라도 여기서 새로운 형질을 더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지키지 않아 박테리아에서 뽑아낼 때 DNA가 오염됐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그는 “심사
위
원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다”며 “왜냐하면 충격적인 논문을 싣겠다는 ‘사이언스’ 지 편집자의 욕망을 이기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가)~(라) 과학동아 2011년 1월호 시사기획 ‘비소 ... ...
종교에서 과학으로 그림 속 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드러나는 정확한 각도에서 그리고자 했어요. 그래서 나무와 물고기, 새는 옆에서, 연못은
위
에서 본 것으로 그렸어요. 그 결과 한 그림이 여러 가지 *시점을 담게 되었답니다.*시점 : 어떤 대상을 보는 방향. 물고기 암호의 의미는?그리스 초기부터는 ‘최후의 만찬’을 그린 그림에 물고기가 놓인 큰 ... ...
2등이 1등보다 앞서는 이상한 프로야구 셈법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게임차가 -0.5라고? 7월 13일 프로야구 팀 순
위
표에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1
위
삼성과 2
위
KIA의 게임차가 -0.5라고 나타난 것이다. 삼성의 승률은 0.603, KIA의 승 ... 순
위
를 정확히 비교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승점을 경기 수로 나눈 평균승점으로 순
위
를 정하는 방법이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는 방법도 있다. 비밀은 건물번호판의 모양에 있다. 집이나 아파트처럼 주거용 건물은
위
가 뾰족한 오각형의 팻말을 쓴다. 빌딩과 같은 상업용 건물은 직사각형,관공서는 원형 팻말을 이용한다. 문화재나 관광지는 식빵 모양의 갈색 팻말을 쓴다. 특히 관공서, 문화재나 관광지의 팻말에는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그 뒤 계측기술은 더 발전했지만 기록은 계속 0.01초까지만 측정해요. 다만 순
위
를 정확하게 가려야 할 때는 사진 판독을 해요. 1초에2000장을 찍을 수 있는 사진기를 쓰기 때문에 0.0005초까지 가릴 수 있지요. 1cm의 작은 차이도 구분해 낼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무모한 도전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 서이초등학교 “색종이로'무게중심 새'를 만들었어요!”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달리 잠자리는 머리가 작고 꼬리가 길어서 클립 없이도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었어요. 가
위
질이 서툰 학생들은 조금 시간이 걸렸지만, 6학년 7반 담임 선생님이신 김숙 선생님이 많이 도와주셔서 다행히 스물여덟 명의 학생들이 모두 무게중심 잡기 실험에 성공할 수 있었답니다.여러분도 기사를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있지. 특히 재미있는 것은 첫 번째 카드와 마지막 52번째 카드는
위
와 같은 리플 셔플로
위
치가 절대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이야. 이것은 함수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로 조금만 리플 셔플을 연습해본다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제 5 코스 October는 원래 8월!영어로‘oct’라는 접두사가 쓰인 단어를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어떤 수를 영 제곱하면 왜 1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했을 때, 일일이 곱한 수를 나열해 쓰지 않고 곱한 횟수를 오른쪽
위
에 작은 숫자로 표현해 쓰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25은 2×2×2×2×2와 같이 2를 다섯 번 곱했음을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20은 2를 0번 곱한 수죠.그런데 2를 한 번도 곱하지않은 값은 얼마일까요? ... ...
π가 끝이 없는 수라는 걸 어떻게 아나?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반복되지도 않으면서 소수점 아래로 끝나지도 않는 수라는 사실을 요한 램버트라는 스
위
스 수학자가 증명했습니다. 램버트는미적분을 이용해 원주율이 소수점 아래 어딘가에서 끝난다면 모순이 생김을 보이는 방법으로 증명했습니다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