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눈덩이처럼 이자가 불어난다? 복리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1000원이 되었다면, 1년 전에 살 수 있던 물건을 이자를 받고도 살 수 없기 때문이다.이런
점
을 감안해 물가를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로 나누기도 한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지 않은 이자율을 명목이자율이라고 하고, 물가 변동을 감안한 이자율을 실질이자율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예로 든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일상에서도 무수히 많은 우주를 만들고 있다는
점
이 다른 거대 다중우주 이론과 다른
점
이다.[시뮬레이션 다중우주는 수학이 곧 물리적 우주와 같다고 본다. 상상할 수 있는 어떤 물리법칙이 지배하는 우주라도 만들 수 있다.]특징 가능한 우주는 모두 존재할 수 있다테그마크 교수의 마지막 4단계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임창환 연구원은 “고속
점
화와 충격
점
화를 동시에 이용하면 더 적은 에너지로도
점
화 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원자력연은 현재 1KJ급의 고에너지 레이저를 보유 중이며 향후 출력을 높여가며 관련 실험을 할 계획이다. 원자력연이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 실험에 성공하면 자기장을 이용한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감압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가장 일반적인 생산 방식이다.그런데 감압법에는 큰 문제
점
이 하나 있다. 지층 사이에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를 녹였을 때 지반이 약해져 붕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해저 통신케이블 및 구조물이 손상될 수 있으며 심하면 지진과 해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이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일은 이렇게 서로 크기가 맞지 않는 상황에서도 출산과 분만이 수도 없이 이뤄져 왔다는
점
입니다.[인류에게 출산이 유독 두려운 일이 된 데에는 진화적인 이유가 있다.]산도보다 머리가 큰 아이를 낳기 위해 여자의 골반은 뼈와 뼈 사이가 물렁해졌고,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됐습니다. 골반뿐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창의 기초 연구 6학
점
, 소집단 자율 연구 16학
점
, 졸업 연구 8학
점
등 창의연구활동이 30학
점
이다. 연구활동도 대부분 수리과학 관련 연구이므로 수학과 과학에 관련된 교과의 총 이수 단위가 103단위에 이른다. 이와 같이 과학영재학교는 수학과 과학에 집중적으로 시간이 배정돼 있다. 과학고도 크게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도는 별들을 찾았다. 그런 곳이 생명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점
차 과학자들은 행성이 적당한 거리에서 공전해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온도 조건이라면, M-왜성 주변에도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버드대 천문학자이자 베르타의 지도교수인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없기 때문에 아미그달린이 독성분인 청산으로 바뀌지 않기 때문이죠.”김 교수는 이런
점
에 착안해 발효 한약을 개발했다. 즉 약효성분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인삼 같은 약재를 발효 미생물에 미리 처리해 우리 몸이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꾼다는 아이디어를 실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약에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식이다. 문제는 광학현미경에서 관찰하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
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전자가 투과하지 못해 관찰이 불가능하다. 결국 광학현미경으로 보던 시료를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선택론은 겉으로 보면 마치 검은 돌과 흰 돌과 같이 완전히 다르게 느껴지지만 유사한
점
도 많다. 그러나 집단선택론이 옳든, 유전자 선택론이 옳든지 간에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지금 살아가는 모든 생물들은 모두 소중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개미 한 마리도 함부로 죽여서는 안 되는 이유다 ... ...
이전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