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723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06
않지만 갈라파고스형의 특이한 생물 군집이 연이어 발견됐다.심해저의 수렴대를 따라
육지
쪽 방향, 즉 남해트러프, 일본해구, 쓰시마해구 3천8백-6천5백m의 해저에 이러한 형태의 생물 군집이 존재했다. 또 페루 해구에서도 발견돼 범세계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들은 지하 깊은 곳으로부터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05
이곳에서 주변의 모든 생물체에게 영양과 에너지를 공급하는 1차 생산자의 역할을 한다(
육지
에서는 주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 이같은 역할을 한다). 놀랍게도 이곳의 미생물들은 주로 열수구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황, 철, 망간 등을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다.미국 일리노이대의 칼 워즈 교수가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01
소행성의 영향은 충돌하는 소행성의 크기나 재질, 그리고 소행성이 충돌하는 위치가
육지
냐 바다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표).예를 들어 1천년에 한번 정도 충돌할 것으로 예상되는, 크기가 75m 정도인 소행성이 충돌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석질(石質) 소행성이라면 시베리아 퉁구스카의 사건처럼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12
높였다.예기치 못하는 강한 바람에도 대비하고 있다. 특히 바다를 가르며 서있기 때문에
육지
보다 강한 바람과 태풍이 들어 닥칠 수 있다. 과거 기록 중 최대풍속의 약 3배 수준인 65m/초의 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위한 풍동실험(wind tunnel test)은 세계적 권위기관인 미국의 웨스트 윈드 ... ...
방사능 위험안고 해저 누비는 핵잠수함
과학동아
l
200010
쿠르스크호를 빠른 시일 안에 처리해야 하는데, 이것에 대해 몇가지 안이 제시됐다. 먼저
육지
로 인양하는 방법으로서 선체 전체를 인양하는 방법과 원자로 격납용기만 따로 떼어내어 인양하는 방법 두가지가 있다. 그러나 두가지 모두 막대한 소요경비(선체인양의 경우 약 1억달러 소요 예상)와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8
상황에서 발견하는 쓰레기는
육지
가 가까워졌다는 증거가 아닐 수 있다는 의미다.마침내
육지
를 발견했다 해도 마지막까지 안심해서는 안된다.전문가들은 실제로 큰 위험이 바다 한가운데 보다 해변가에서 닥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우선 높은 절벽 쪽을 피해 노를 저어햐 한다.거센 파도와 ... ...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
과학동아
l
200007
매년 2백30억t의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뿜어졌다고 한다.그 중에서 51억t은 광합성에 의해
육지
에서 재흡수됐고,74억t은 바다로 흡수됐으며 나머지 1백5억t은 0.03%를 유지하고 있는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바닷물에 녹아 들어간 이산화탄소는 약산인 탄산(H₂CO₃)을 ... ...
공룡 번성과 몰락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006
발견돼야만 한다. 그러나 운석충돌 이론이 발표됐을 당시 이런 크기의 분화구는
육지
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운석이 바다에 떨어진 것이 아닐까. 하지만 1990년 분화구의 잔해가 멕시코 유카탄반도의 북서쪽에서 발견되면서 운석충돌 이론이 지지를 받기 시작했다. 더욱이 폭발 때 생겼을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06
가장 우수한 군함을 만들어온 해양국가라는 사실은 까마득히 잊고 있다. 우리는
육지
에서 완패한 임진왜란을 바다에서 역전시킨 해양강국이었다. 그리고 이는 고려시대 이래로 이어져온 조상들의 탁월한 선박 건조 능력이 바탕이 됐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한선(韓船)의 선구자 완도선 198 ... ...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03
걷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반면 물 속에 사는 파충류는 물의 부력 때문에
육지
에서 생활하는 파충류보다 단지 1/4의 에너지만 쓰면서 살아갈 수 있다.또다른 원인은 먹이다. 바다 속에는 물고기나 오징어와 같은 풍부한 먹이가 있었다. 해양 파충류 화석의 배 부분에서 이들의 잔해가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