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d라이브러리
"
관여
"(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증 사냥꾼 진통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비슷한 COX-1의 작용도 방해한다. COX-1는 혈액응고를 촉진하는 트롬복산을 만드는데
관여
하는 효소로 아스피린이 존재하면 혈액응고가 잘 안 된다. 그런데 이런 작용은 혈액이 막혀 생기는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값싼 수단이 될 수도 있어 정기적으로 아스피린을 먹으라고 권고하기도 한다.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게놈은 목걸이처럼 연결돼 있다) DNA에서 mRNA를 만들지만 mRNA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데는
관여
하지 않는다. 바이러스의 경우는 숙주세포가, 핵의 경우는 핵막 밖의 세포질에서 단백질을 만든다. 또 게놈을 복제할 때 바이러스의 경우 단백질 캡슐이 흩어지고 진핵세포의 경우 세포핵막이 사라진다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개를 내주고 탄산이온(CO32-)이 된다. 탄산이 이온화할 때는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평형이
관여
한다. 제시문 (나)의 밑줄 친 문장 같이 몸속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대부분은 HCO3- 형태로 혈액에 녹아 있다. 이유를 제시문을 참조해 설명하라. (단 -logKa1=6.3, -logKa2=10.3) 2) 적혈구에서 생성된 수소이온이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가시 구조 차이를 결정하는 Pitx1 유전자 조절부위 그리고 박쥐의 긴 팔 발생에
관여
하는 Prx1 유전자 조절부위 같은 것들이오.그렇다면 하등동물에서 고등동물로의 진화는 어떻게 일어날 것 같소? 진화발생생물학자들은 그래서 복제라는 개념을 강조하오. 가령 척추동물은 무척추동물보다 유전자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실제로 비타민D가 뼈 건강을 유지하는 일 뿐 아니라 암이나 당뇨병 같은 다양한 질병에
관여
한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최근 매일 한편씩 비타민D 논문이 나올 정도로 관련 연구도 급증하고 있다.미국같이 땅덩어리가 넓은 나라는 한 나라 안에서도 뉴욕 같은 북동부와 로스엔젤레스 같은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여성 과학자를 배출하는 인큐베이터로 자리 잡고 있다.인공효소를 만들려면 효소가
관여
하는 전체 화학반응을 이해해야 한다.효소의 화학반응에서 생성되는 중간체의 형태와 기능을 알지 못하는 것은 마치 미로에서 입구와 출구는 알고 있지만 중간에 어떤 과정을 거쳐서 미로를 벗어나야 하는지 ... ...
소금 법정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차이에 따라 신경자극이 전달되거나 근육이 수축하는 등 우리 몸이 조절됩니다. 여기에
관여
하는 물질이 바로 소금에 들어 있는 나트륨! 그러므로 만약 소금을 먹지 못한다면 나트륨이 세포막에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신경자극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근육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못할 수도 ... ...
스트레스 NO! 즐겁게 등교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바꿔 준다.골고루 먹어라!편식을 하면 몸의 수분 조절이나 근육, 신경의 움직임에
관여
하는 전해질이 부족해진다. 또 신경전달물질의 생산에 필요한 물질이 부족해 지므로 골고루 먹어야 한다.감정을 표현해라!분노, 절망 등의 감정을 그림이나 노래, 운동으로 표현하면 만족감을 느낄 수 있고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하지만 긍정상쇄나 부정편향처럼 인지적 처리가 작동하는 판단을 할 때는 DLPFC가
관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재진 교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1991년 정신과 전문의가 됐다. 2002년 연세대 의대 교수로 부임해 현재 영동세브란스병원 정신과 과장과 연세대 의대 의학행동과학연구소 소장으로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예상이 틀린 것이죠.” 그 뒤 최 교수팀은 빛의 자극이 신경신호로 전달되는 과정에
관여
하는 G단백질의 G알파 단위체의 조각이 옵신에 결합된 상태의 결정도 만드는데 성공했다(9월 25일자 논문). 옵신에 G알파 단위체가 붙은 활성 상태인 옵신의 구조는 단위체가 결합하지 않은 옵신 구조(7월 10일자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