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꽃"(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농도가 짙을 때는 똥냄새가 난다. 하지만 자스민이나 우롱차에서는 농도가 옅고, 은은한 꽃향기가 난다. 결국 어떤 분자들이 각각 어떤 수용체에 붙는지 여부(조합)와, 농도에 따라 냄새가 정해진다. 그래서 단 26개의 알파벳으로도 만들 수 있는 단어가 무한한 것처럼 후각수용체의 조합을 통해 맡을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봄 소식을 전하는히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한 뭉치를 이뤄 꽃대의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해요. 포도송이처럼 긴 꽃대에 띄엄띄엄 꽃 뭉치가 달린답니다.이름은 ‘15리’의 순천 사투리인 ‘시오리’에서 유래했어요. 걷다 보면 15리마다 이 식물을 만날 수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지요.히어리는 1910년 전남 순천 송광사에서 처음 발견됐는데, 오직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보세요. 노루귀는 낙엽이 떨어져 비옥해진 토양을 좋아하거든요. 흰색, 분홍색, 보라색 꽃이 잎보다 먼저 나기 때문에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제주도나 울릉도에서는 다른 종의 노루귀를 볼 수 있어요. 땅이 척박한 제주도나 남해안 지역엔 노루귀보다 크기가 작은 ‘새끼노루귀’가 노루귀와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새로운 상황을 배울 수 있다고 밝힌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었지요. 지금까지는 뒤영벌이 꽃 속의 꿀을 먹는 상황처럼 익숙한 상황을 실험했거든요.로우콜라 교수팀은 뒤영벌이 한 번도 접해 보지 못한 문제 상황을 만들었어요. 파란색 원판 위에 노란색 공을 올려둔 뒤, 뒤영벌이 5분 안에 공을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빠져나간다. 암염과 대규모 천일염 등을 다시 녹인 뒤 염화나트륨만을 정제한 것이 꽃소금이라고도 부르는 재제염이다. 이온 교환막을 이용해 바닷물에서 중금속과 이물질을 정제한 뒤 가열해서 얻어내면 정제염이 된다.나머지 2%의 대부분은 볼리비아의 우유니 사막과 안데스산맥 등지의 호수에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자단 친구들은 알록달록 각자 독특한 무늬의 드론을 만들었어요. 예쁜 꽃을 가득 그려넣은 화사한 드론부터, 화려한 색으로 알록달록 폼보드를 꾸민 드론까지 각양각색의 매력이 돋보였지요.록 폼보드를 꾸민 드론까지 각양각색의 매력이 돋보였지요. 강민서(서울 청파초 5) 친구는 “머릿 ... ...
-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박쥐에게 도달하는 초음파가 이전과 달라져 박쥐는 멀리서도 꿀이 없다는 걸 알고 다른 꽃을 찾아가지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부터 도마뱀까지! 최고의 사랑 배달부는 누구?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Part 3. 별별 사랑 ...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DNA뿐만 아니라 다양한 핵산을 이용해 나노 꽃 입자를 만들어 유전자 치료나 바이오센서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B’ 12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doi:10.1039/c6tb0304 ... ...
- [과학뉴스] 온도에 따라 움직이는 꽃 로봇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독립적으로 전류를 흘려보냈을 때는 꽃잎이 한 장씩 독립적으로 펼쳐졌다.연구팀은 직물 꽃이 피는 모습을 유튜브에 공개했다(www.youtube.com/watch?v=uj15Umtc1oM). 이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월 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doi:10.1002/adma.20177008 ...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국이 ‘꽃풍년’이었습니다. 꽃잎 날리는 벚나무 아래에 개나리가 노란 자태를 뽐내는 모습이 얼마나 아름답던지요. 이런 풍경은 1980년대 이전까지 ... 많고, 여기서 나온 단백질의 상호작용은 그보다 더 복잡해 갈 길이 멀지만 언젠간, ‘엔딩’ 없는 벚꽃도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요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