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형"(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깊게 연관돼 있다”고 설명했다. 내가 알고 싶은 도형이 있을 때, 매듭을 대신 연구해 그 도형의 성질을 알아낼 수 있다는 뜻이다.DNA 매듭 푸는 매듭이론오 교수는 “매듭이론은 물리나 화학, 생물 등 다른 분야에서 선으로 된 것을 모형화해서 다루는데 도움이 된다”며 매듭이론이 다른 분야에서 ... ...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발톱을 직접 확인해 보세요.●원추형 : 밑면이 원이고 옆면이 곡면인 뿔 모양의 입체도형으로, 원뿔을 말한다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수많은 공룡발자국이 발견됐어요. 하지만 공룡뼈 화석이 두개골부터 꼬리뼈까지 완벽한 형태로 발견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어요.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발굴된 ... ...
- 밸런타인 데이의 로맨틱한 수학적 고백법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도대체 문제가 뭐야?!광수는 차였다. 왜 차인 건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다. 아라의 마음속에 이미 다른 사람이 있는 걸까? 내가 매력이 없는 걸까? ... 위로 수선의 발을 내렸을 때 생긴 도형을 말해요. 네가 어디에 있든지 내가 평면이 돼 너라는 도형을 품고 싶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지요 ... ...
- [수학뉴스] 울프상 수상자, 리처드 쉔과 찰스 페퍼먼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수학과 교수입니다. 쉔 교수는 도형의 각을 유지하며 모양을 변형했을 때 도형의 굽은 정도를 일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야마베 문제’를 해결해 미분기하학 분야의 저명한 수학자로 발돋움했습니다.페퍼먼 교수는 수학계의 대표적인 천재로 통합니다. 만 22살에 정교수가 돼 미국 역사상 최연소 ... ...
- [수학뉴스] 사랑이 피어나는 미분과 적분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미분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지요. 적분은 곡선으로 이뤄진 도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도형을 다각형 모양으로 아주 잘게 쪼갠 뒤 각 넓이를 구해 더한 거예요. 이렇게 보니 미분과 적분은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죠. 그런데 왜 항상 함께 다니는 걸까요?미분과 적분은 서로 관련 없이 정의되고 ... ...
- [수학뉴스] 시에르핀스키 문제 이제 다섯 걸음 남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최근 프라임그리드 소속 페테르 서볼치가 가장 작은 시에르핀스키 수의 후보를 5개로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프라임그리드는 어마어마하게 큰 소수를 컴퓨터로 찾는 단체로, 회원들은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해 함께 거대한 계산 문제를 해결합니다. 현재 114개국에서 7500여 명이 참여하고 있습니 ...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손잡이가 달린 컵은 둘다 구멍이 1개이므로 위상학적으로 같은 도형이지요.수상자들은 도형의 구멍이 1개, 2개 등 정수로 변하는 것처럼 평면에 놓인 원자의 전기적 특성이 정수 형태로 띄엄띄엄 변한다고 설명했어요. 이들은 물리학에 수학을 적용해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낸 공로를 인정받았답니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파전 달인 '안타나 잘디지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놓여 있고, 프라이팬은 이미 뜨겁게 달궈진 상태였다. 그런데 벽에 걸린 커다란 종이에 도형들이 그려져 있는 게 아닌가! “저 벽에 걸린 종이를 잘 보고 어떤 모양의 파전을 부쳐야 할지 알아내서 그 모양대로 파전을 부쳐 보라고! 그 정도 눈썰미는 있어야지!” 썰렁홈즈는 이제 파전의 비법을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오징어 외계인 ‘ 콩땅 어징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어징오’는 이번엔 진짜 어려운 문제를 내겠다며 오징어 우주선을 이용해 홀로그램 입체도형 영상을 보여 준다.“잘 보라징. 이 중에 불가능한 게 섞여 있다징. 그걸 골라내지 못하면 지구인들을 몽땅 가둬 버릴 거라징!” “뭐징? 어떻게 다 맞춘 거징?”썰렁홈즈의 활약에 놀란 콩땅 어징오는 ...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기하학, 즉 물체나 공간을 다루는 학문에 대한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도형을 가장 간단히 그리는 방법을 연구하거나 두 점을 잇는 가장 빠른 경로를 찾는 데 쓰인답니다. 앞에서 다룬 최단경로 찾기나 신장 트리 역시 넓게 보면 계산기하학에 속하지요.운동 계획 문제는 산업용 로봇이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