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녘
동방
동쪽지방
동진
동쪽 하늘
d라이브러리
"
동쪽
"(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가능 시간은 약 20분 정도로 해뜨기 1시간 전까지다.5월 초순이 지나면 리니어혜성은 새벽
동쪽
하늘에서 사라지며 한동안 태양에 가려 볼 수 없는 기간이 지속된다. 이 혜성을 다시 볼 수 있게 되는 시기는 5월 하순부터이며 이번에는 초저녁 서쪽하늘에 그 모습을 드러낸다. 이 기간 동안 혜성은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재빠르게 낚아챘다.백악기 전기가 끝날 무렵 경상호수는 빠르게 침강하기 시작하면서
동쪽
으로 그 범위를 넓혀나갔다. 이와 함께 다시 화산활동이 서서히 시작됐다. 호수의 크기가 계속 변하자 호숫가의 수면이 계속 변했고 호숫가를 찾는 공룡들이 수분을 함유한 호숫가 퇴적물에 반복해 발자국을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새로운 초대륙의 중심이 된다. 유라시아판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한반도 곁으로
동쪽
편으로는 북미판이, 그리고 남쪽으로는 호주판이 붙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륙의 충돌은 한반도 주변으로 거대한 산맥을 형성시킬 것이다. 또한 한반도는 충돌로 인해 대규모의 지각변동을 겪으면서 지금보다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별은 어디에 있을까. 봄을 알리는 3월의 밤하늘에서 이 별을 찾아보자.이슥한 밤
동쪽
하늘 높은 곳에는 오렌지색의 밝은 일등성 아크투르스가 하늘을 빛내고 있다. 이 아크투르스의 바로 위쪽에는 목동자리의 몸통을 이루는 다섯개의 별이 5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 다섯개의 특이한 별들은 오래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불이 이글거리는 지옥에 가지 않으려면 아무개를 믿어야 한다”라든지, “무릎을 꿇고
동쪽
을 바라보며 하루에 다섯 번 절을 해야 한다”와 같은 코드들이 쉽게 기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코드들은 대개 부모의 가르침에 의해 전달됩니다.2000년 9월 11일 뉴욕의 국제무역센터가 주저앉는 모습을 ... ...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별이다. 이번에는 이 두별과 삼각형을 이루는 또하나의 별을 찾아보자. 이 별은 두별의 남
동쪽
에 위치해 있는 외뿔소자리 18번별인데 5등급으로 다소 어둡다. 하지만 주변에 다른 밝은 별이 없는 만큼 찾기에 그리 어렵지 않다.외뿔소의 머리 장식 바로 이 삼각형의 내부에 장미성운이 있다. 성운은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왔을 때 그 시계를 보니 오후 1시를 가리켰다. 그러면 그 배는 런던에서 경도로 15。만큼
동쪽
에 있는 것이다. 지구가 하루(24시간) 동안에 한바퀴(3백60。)를 돌기 때문에 1시간 차이는 15。만큼 이동했다는 것을 뜻한다.그런데 문제는 그 당시 기술로는 항해에 사용할 수 있을 만큼 견고하고 정확한 ... ...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해 명성 얻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목성의
동쪽
에 위치해야 한다. 그런데 다음날 관측한 결과 세 항성들이 마치 목성이
동쪽
으로 움직인 것처럼 목성 서쪽에 위치해 있었다. 이 뜻밖의 현상에 흥미를 느낀 갈릴레오는 일주일 내내 이 별들 관측에 매달렸다.그로부터 갈릴레오는 몇가지 사실을 알게 됐다. 하나는 이 항성들이 한번도 ... ...
철새 핵심서식처 관통하는 5.1km 다리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건설이 뜨거운 감자로 등장하고 있다. 왕복 6차선, 길이 5.1km인 이 다리는 낙동강 하구
동쪽
에 위치한 기존 시가지와 서쪽에 위치한 신흥공업단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부산시는 “신항만으로 인해 앞으로 물류이동량이 더 증가하기 때문에 명지대교 건설은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의외로 빠르다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서서히 달에 접근하던 별은 달의
동쪽
편인 밝은 부분으로 잠입해 사라진다. 약 1시간 뒤인 6시 30분 경이 되면 달의 어두운 부분인 서쪽에서 다시 별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하늘이 밝아올 것이다.성식은 맨눈이나 쌍안경,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