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지질학자들의 모임인 국제지질과학연맹(IUGS)의 최종 투표까지 거쳐야 할 단계가 많다. 이 모든 투표를 거쳐 인류세가 공식적으로 지정되면, 교과서에 실리는 기준 층서 도표에 인류세가 실리게 된다. GSSP로 선정된 지역에는 기념 동판인 ‘황금못’이 설치된다. 터너 교수는 “2024년 부산에서 열리는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하트 모양 은하의 러브 스토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보다. 참 재밌는 질문이나, 참 어려운 질문이기도 하다. 사실 지구의 하늘에서 모든 별은 작은 점으로 보인다. 우리 은하에만 수천억 개 이상의 별이 있고, 별마다 빛나는 색깔, 모습, 크기도 가지각색이나, 워낙 멀리 떨어진 탓에 그 자세한 매력 포인트를 하나하나 구분할 수 없다. 굳이 별 하나를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테니 지금부터 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현재 우리 삶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기기는 디지털 기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현 시대의 탄소발자국 대부분은 디지털 탄소발자국일 수 있다는 거지요. 앞으로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더욱 커져갈 겁니다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엄마의 뱃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갈림길을 찾아갈까요? 엄마의 자궁에 착상하기 전,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배반포의 배아줄기세포는 세포분열을 거듭해 숫자를 늘립니다. 그러다 엄마의 자궁에 착상을 하면 비로소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하고자 세포의 대이동을 일으킵니다. 이를 ‘낭배 형성 ... ...
- [DGIST@융복합 파트너] KIM’s LAB 열과 전기의 마법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연구실 밖으로 나오는 기술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열전 소자를 들고 다니고, 모든 집과 공장에 열전 기술이 적용된 세상을 꿈꿉니다.” Kim’s Lab은 열전 효과를 이용한 첨단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특히 논문이나 특허 위주의 혁신 소재 연구에서 벗어나, 부품을 만들고 이 부품을 활용한 ... ...
- [이달의 책] 동물들이 알려주는 우리 모두의 리더십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리더십’은 지금까지 자연과학 도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어는 아니었다. 과학보다는 경제나 경영 혹은 정치나 사회 분야에서 쓰이는 경우가 ... 부각된다. 다양한 동물 사회의 리더십을 들여다보고 리더십과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포괄적으로 사유하는 기회를 가져보자 ... ...
- 별별 원주율 기네스 세계 기록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원주율을 가장 길게 표현한 세계 기록을 가지고 있어요. 2018년 π-데이를 기념하기 위해 모든 학생과 전직원, 그리고 학부모까지 손에 원주율 자릿수가 하나씩 적힌 종이를 들고 순서대로 쭉 서 있었지요. 가장 큰 인간 π : 영국 리즈모어중등학교2019년 영국 리즈모어중등학교의 수학부에서 π-데이에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경탄과 호기심을 더 크게 느꼈습니다. 이 생각은 몇 가지 가정에 의존합니다. 모든 물리 법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가정이 필요하고, 물리 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은 개체는 없다는 가정도 필요합니다. 과연 이 가정들이 참이라고 확신할 수 있을까요? 돌이켜 보면 이런 의문에 답을 찾고 ... ...
- [킹앤유&UNIST] 숨은 규칙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하는 것 중 하나일 거예요. 오늘 소개할 문제는 어떠한 배경지식도 필요하지 않아요. 모든 상상력을 동원해 숨은 규칙을 관찰하고 추론하며 결론에 도달해보세요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모든 실수를, y축에는 이 실수에 i를 곱한 허수를 대응시켜요. 그러면 평면의 점과 모든 복소수를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지요. 참고로 이보다 앞서 프랑스 수학자 르네 데카르트(1596~1650)가 기하학에서 좌표평면을 도입했는데요. 그런 면에서 데카르트가 복소수가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도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