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매스 익스프레스, 수학으로 2424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한 달 전. 아빠, 엄마로부터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어. 새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이사를 가야 한다는 거야. 배를 타고 갈 만큼 먼 곳이라 친구들을 자주 볼 수도 없어. 슬퍼할 겨를도 없이 다음 날부터 이사 준비가 시작됐지. 그리고…, 오늘이 바로 이삿날이야! Intro. 매스 익스프레스, 수학으로 ... ...
- Part 1. 인테리어 돕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처음 이사를 간다는 말을 들었을 때는 너무 아쉬웠지만, 내 방을 원하는 대로 꾸며도 된다는 엄마의 말에 귀가 솔깃해졌어. 엄마가 알려주신 홈페이지에 접속해 이사 갈 집의 내 방을 꾸몄지. 그런데 우리 집을 어떻게 알고 이렇게 멋진 입체 그래픽으로 만들어 놓은 걸까? 예전에는 가구를 배치할 ... ...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다양함’ 가득한 스탠퍼드대에 끌리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모인 친구들이었지만, 각자 살아온 배경과 앞으로의 꿈은 정말 다양했다. 우리는 서로의 문화, 교육 시스템, 화학을 좋아하게 된 계기 등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를 나눴다. 특히 시리아에서 온 친구들과의 대화가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내전 때문에 동네에 폭탄이 떨어져 전기와 수도가 ... ...
- [수학뉴스] 1월의 수학자 - 다비트 힐베르트 탄생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의견이 나왔습니다. 라틴어로 ‘우리는 모르고, 모를 것이다’라는 어구가 유행처럼 문화 전반에 걸쳐 퍼졌죠. 힐베르트는 본인의 은퇴 연설에서 이런 회의적인 사람들을 겨냥해 한 마디 남깁니다. 이 말은 훗날 그의 묘비명으로 쓰였으며, 후대의 많은 학자들에게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
- [수학뉴스] 수학이 본 ‘대박 영화’는?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등장인물의 옷과 대사를 흉내 내고 특정 장면을 패러디하는 영화도 있죠. 이런 영화를 ‘문화적 파급력이 크다’고 하는데요. 이런 파급력을 평가할 수 없을까요? 이탈리아 토리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연구팀은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IMDb)에서 얻은 4만 7266개 영화를 ‘사회망 분석’으로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사조와 문화를 만들려는 운동이 움텄습니다. 전통과 권위에 반대해 근대 과학과 문화에서 변화를 꾀하는 운동이 일어난 것이지요. 유럽 곳곳에서는 당대 최고의 철학자, 수학자 그리고 예술가들이 모여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프랑스 파리에서도 조르주 브라크와 피카소를 비롯해 시인과 문인이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기획‧제작함으로써 뷰티산업의 트렌드를 이끄는 기획자이자 창조가 -패션‧뷰티‧대중문화‧소셜미디어 분야에 대한 지속적 조사 및 연구-크리에이티브 컨텐츠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 수집 및 기획-컨텐츠 홍보를 위한 마케팅 및 영업, 1인미디어 경영 주도 뷰티 크리에이터에 대해 더 알아보고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0대 독자들을 위해 진로, 진학 정보를 담았다. 컬처(CULTURE) 섹션은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를 움직이는 힘을 과학기술의 시각으로 해석했다. 과학동아가 33년간 매달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잡지를 발행할 수 있었던 것은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 질책이 있었기 때문이다. 판형 변경은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방 두께는 3.8cm가량으로 훨씬 두껍다”며 “지방이 적은 돼지고기를 선호하는 최근 식문화에 잘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재래돼지의 활용을 고민하던 국립축산과학원은 다른 종의 돼지와 교배하기로 결정했다. 2007년 국립축산과학원은 이미 외래종인 듀록 종을 국내 환경에 맞도록 개량해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사냥꾼이 아니라 장군이나 어부로 보았다니, 세계 각지의 사람들은 문화에 따라 다른 별자리를 가지고 있었구나. 그런데 어쩌다 오리온만 별자리로 남았을까? 세 형제와 장군들은 어디로 사라진 거지? 천문학자들, 별자리를 합치다! 지금 우리에게 친숙한 별자리는 서양의 별자리예요. 바빌론의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