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도"(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으로 꾸민 아름다운 공간 ‘벽지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인테리어에서 가장 고민한 부분은 바로 벽지야. 벌써부터 내 방 벽지가 실제 어떤 모습일지 정말 궁금한 거 있지? 수학적으로 고른 무늬거든! 벽지를 수학적으로 골랐다니 무슨 뚱딴지같은 말이냐고? 수학자들은 평면을 채울 수 있는 반복 무늬가 대칭성을 기준으로 17가지로 나뉜다는 것을 알아 ...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빈틈없이 효과적으로 트럭을 채운 짐과 함께 우리 가족은 배를 타고 새로운 집으로 향했어. 집에 도착해 예쁘게 도배가 된 내 방을 보니 빨리 짐을 옮겨 놓고 싶은 거 있지? 그런데 매스 익스프레스 아저씨들은 짐을 옮기기는커녕 복도에서 길이를 재고 계시네. 이번에는 또 무슨 일이지? 이사의 ... ...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다양함’ 가득한 스탠퍼드대에 끌리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잘하고 와야지. 우리나라를 빛내야지.” 75개국 약 250명의 학생이 참가했던 2015년 제4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 설레고 긴장되는 마음으로 아제르바이잔으로 향했던 내 머릿속에는 오로지 이 생각뿐이었다. 하지만 나는 목에 걸었던 금메달보다도 훨씬 더 값진 경험을 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 ...
- [수학뉴스] 수학이 본 ‘대박 영화’는?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여러분이 생각하는 ‘대박 영화’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수백 만 명 이상의 관객을 끌어들였거나 상을 많이 받은 영화라고 생각할 거예요. 그런데 이런 영화만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사람들이 오랫동안 등장인물의 옷과 대사를 흉내 내고 특정 장면을 패러디하는 영화도 있죠. 이런 영화를 ‘문 ... ...
- [수학뉴스] 1월의 수학자 - 다비트 힐베르트 탄생수학동아 l2019년 01호
- 1862년 1월 23일은 독일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가 탄생한 날입니다. 힐베르트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가장 위대한 수학자 중 한 명으로 늘 손꼽히지요. 힐베르트는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학교에서 열린 1900년 파리 세계수학자대회에서 20세기 수학자들이 풀어야 할 ‘23가지 수학 문제’를 발표했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수학미술관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오늘부터 여러분은 저와 함께 미술 작품을 감상하며 그 속에 담긴 수학이야기를 듣게 될 겁니다. 첫 번째 시간은 현대 미술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그의 명성을 드높인 미술 사조인 큐비즘 작품을 관람할 예정이랍니다. 자 이제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03년 영국의 4대 일간지 중 하나인 ‘인디펜던트’는 일반신문 크기인 대판(391×545mm)에서 절반 크기인 타블로이드판(272×391mm)으로 판형을 대폭 줄였다. 큰 활자의 헤드라인, 세상을 크게 꾸짖는 듯한 권위적인 편집을 버리고, 읽기 쉽고 감성적인 편집을 추구했다. 인디펜던트는 타블로이드 판형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돼지는 8000년이란 세월동안 대표적인 가축으로 인류와 함께했다. 소처럼 농업에 보탬이 되거나, 염소처럼 젖을 제공하지도 않고 오롯이 식량 자원으로만 말이다" ‘황금돼지의 해’ 2019년이 밝았다. 돼지는 복과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다. 하지만 동시에 더럽고 천박하며 게으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대학은 ‘진로 탐색’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진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희망하는 진로를 위해 노력한 학생들이 대학에 와서 우수한 결과를 낼 것이라 기대하는 것이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은 진로를 탐색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낀다. 진로에 대해 충분히 고민할 시간도, 마음의 여유도 없기 때문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나를 사냥꾼이 아니라 장군이나 어부로 보았다니, 세계 각지의 사람들은 문화에 따라 다른 별자리를 가지고 있었구나. 그런데 어쩌다 오리온만 별자리로 남았을까? 세 형제와 장군들은 어디로 사라진 거지? 천문학자들, 별자리를 합치다! 지금 우리에게 친숙한 별자리는 서양의 별자리예요. 바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