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생각"(으)로 총 3,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먹고 사는 일도 과학이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보통 전쟁은 한두 달로 끝나는 게 아니더라고. 우리나라 6.25 전쟁도 3년 동안 이어졌으니까 말이야. 평화가 찾아오기까지 난민은 뭘 하면서 지내야 할까? 난민 캠프에 최첨단 기술 ‘블록체인’이?시리아 출신 난민이 모이는 요르단 아즈라크 난민 캠프에는 주변 가게마다 안구 스캔 장비가 있어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화가’라 하면 보통 미술관에 걸린 각양각색의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떠올려요. 그런데 야생의 식물을 전문으로 그리는 화가가 있어요. 바로 ‘식물세밀화가’지요. 식물의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이소영 작가님을 소개합니다! 식물을 그리는 사람차로 한 시간 반 정도 달려서 간 경기도의 ... ...
- [가상인터뷰] 거미가 하늘을 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알리: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반가워! 나는 거미야. 곤충처럼 보이겠지만, 우리는 절지동물로 곤충의 먼 친척이야. 다리가 여섯 개인곤충과 달리, 우리는 여덟 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지.우리의 가장 큰 특징은 꽁무니에서 내뿜는 거미줄이야. 방적돌기라는 기관에서 만든 거미줄로 집을 짓고 먹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포의 파도, 이안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이 아이들이라면 해낼 수 있을 거야.’ 뒤에서 수호와 채윤이를 지켜보던 아저씨는 혼자만의 생각에 잠겼어요. 그러다 갑자기 무언가 생각난듯 주머니에서 노트를 꺼내 채윤이와 수호가 해결한 미션들을 열심히 적었지요. 그때 수호가 아저씨 곁으로 다가왔어요. [스토리 따라잡기] 거꾸로 치 ... ...
- 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불순물이 많은 다이아몬드는 쓸모가 없는 줄 알았는데…. 과학자들이 지구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해 준다니 대단해! 그런데 다이아몬드는 땅 속에만 있는 걸까? 천왕성과 해왕성에는 다이아몬드 비가 내린다?!지구 밖 태양계 행성에서도 다이아몬드를 찾아볼 수 있어요. 바로 천왕성과 해왕성 ... ...
- Part 2.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둠칫, 둠칫, 두둠칫! 이제 본격적으로 구애춤을 시작하려고 해. 그런데 그녀는 도대체 어떤 구애춤을 좋아할까? 농게는 바이올린을 켠다?!농게를 가리키는 영어 단어 ‘Fiddler crab’는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게’라는 뜻이에요. 큰 집게를 위아래로 흔들며 구애춤을 추는 모습이 마치 바이올린을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독자 여러분은 2014년 개봉한 영화 ‘그녀(Her)’를 보셨나요? 남자 주인공이 인공지능(AI) ‘사만다’와 사랑에 빠지는 내용인데요. 비단 영화 속 얘기만은 아닙니다. 최근 중국에서는 소개팅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큰 인기를 끈 여성이 AI 알고리즘을 이용한 가상인물임이 밝혀져 충격을 주기도 했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멋지고 화려한 3D 그래픽은 없지만, 조작이 쉽고 매번 새로운 모험과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게 ‘메이플스토리’의 15년 장수 비결이다. 단, 계산을 못 하면 몬스터를 잡지 못 할 수도 있다는 건 함정! ‘메이플스토리’는 국내 최초의 2D 횡스크롤 방식의 온라인 게임이에요. 전사, 마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방송을 시작하기 전에 슬픈 소식을 전합니다. 오늘이 수학동아 TV의 마지막 방송입니다. 길면 길고 짧다면 짧은 기간 동안 시청해주신 여러분께 감사 인사를 전하며 오늘 이 한 몸 불태우겠습니다. 마지막 수학 개념은 ‘도형의 닮음’입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수포자 만드는 수학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최고의 학교, 최고의 학과에 온 걸 환영한다고 교수님들이 늘 말씀하세요. 훌륭한 교수님들과 똑똑한 학생들이 모인 곳이라는 점이 우리 학과의 자랑거리죠.” 단풍이 아름답게 들었지만 미세먼지가 뿌옇게 하늘을 덮은 11월 7일,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재학생 6명을 만났다. 그들에게서 ‘최고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