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호
군호
패스워드
경보
식별코드
기호
부호
d라이브러리
"
암호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암호
는 즐거운 두뇌싸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숫자를 이용해 간단한 메시지를 보내곤 했다. 문자를 쓸 수 없는 상황에서 숫자로
암호
메시지를 보냈던 사람들의 재치를 엿볼 수 있다. 지금 우리는 얼마나 알아볼 수 있는지 맞혀 보자.➊1004 ➋1010235 ➌7942 ➍7179 ➎9090 ➏0024➊천사 ➋열렬히사모 ➌친구사이 ➍친한친구 ➎고고(지금간다) ➏영원히 ... ...
Intro. 기상천외한
암호
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수학동아에 의문의 편지가 한 통 날아왔어. 편지에는 알 수 없는 의미의 알파벳과 숫자가 뒤섞여 있었어. 아무 의미도 없는 누군가의 장난이라고? 아니야. 이것은 비밀스러운 메 ... 위해
암호
에 대해 파헤쳐 보자.수학동아 친구들도 기사 중간 중간에 있는 힌트를 이용해
암호
를 풀어 봐~ ... ...
Part 3. 나도
암호
전문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글자를 배열해 보면 내용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수피라물이타스은다고”라는
암호
를 해독해 보자. 한 바퀴에 4글자일 때 “만물은 수이다 - 피타고라스” 와 같이 말이 되는 문장이 나온다 ... ...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로 전사(transcription)된 뒤, mRNA가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tRNA(운반RNA)와 상호작용해 유전
암호
에 따라 아미노산들이 특정한 순서로 연결돼 단백질이 합성된다. 이 과정을‘번역 (translation)’이라고 부르는데, 번역이 일어나는 장소가 바로 리보솜이다.리보솜은 RNA와 단백질로 구성돼 있는 거대한 ... ...
Part 1.
암호
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뛰어난
암호
전문가도 많이 배출됐어.19세기 말 비즈네르
암호
의 해독 방법이 알려지면서
암호
전문가들은 혼란에 빠져있었어. 게다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굴리 엘모 마르코니가 무선통신 기술을 개발해 새로운
암호
의 필요성은 더욱커졌지. 전선이 없어도 통신을 할 수 있었지만 적이 통신 내용을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체험하게 해 준다.
암호
를 재즈로인도 출신의 재즈 연주가인 러드레시 마한타파는
암호
에서 영감을 얻은 음반을 발표했다. ‘코드북’이라는 제목의 이 음반에는 피보나치 수열, 모스 부호, 정수론 등을 주제로 한 곡이 담겨있다. 평소 재즈와 인도 전통 음악을 융합시킨 음악으로 이름을 알렸던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미국여행에선 어떤 일이 벌어질까?그리고 놀랄만한 사실 하나! 허풍과 도형이 만났던
암호
명 매헌이 우리가 알고 있는 윤봉길 의사라는 것. 믿어지진 않지만 허풍과 도형의 용감무쌍한 모습을 보고 용기를 얻은 윤봉길은 3년 뒤, 1932년 4월 일본왕의 생일날 행사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군 대장을 ... ...
국산 앱스토어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B가 공개한
암호
화 키를 이용해
암호
로 만든 메시지를 보낸다. B는 자신의 복호화 키로
암호
문을 해독하기 때문에 중간에 해킹당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킬러 콘텐츠를 개발하려면NHN의 자회사인 엔플루토 소속의 게임 개발자였던 변해준 씨는 지난 2월 애플의 앱스토어에 아이폰용 게임 ‘헤비 마크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밝혀졌다. ‘FOXP2’로 이름 지어진 이 유전자는 아미노산 715개로 이뤄진 전사인자를
암호
화하고 있었다. 전사인자란 다른 유전자의 앞부분에 달라붙어서 그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즉 전사되도록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이다. 전사인자 하나는 보통 수십~수백 개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
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