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중
뒤
아래
이후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물 분자와 기름의 자리 교체 ‘치느님’ 프라이드 치킨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합니다. 이때 글루텐이 강력분(13% 이상)이나 중력분(10~13%)에 비해 적은 박력분(10%
이하
)을 이용하면 질기지 않고 바삭한 튀김옷을 만들 수 있습니다. 글루텐이 적을수록 바삭해지는 이유는 글루텐이 밀가루 반죽을 탄성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쫄깃한 식감이 중요한 빵을 만들 때에는 ...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가장 작은 질량의 별이 태양일 것으로 추정했다. 지즐스트라 교수는 “태양 질량의 1.1배
이하
인 별들은 희미한 성운을 만들고, 태양 질량의 3배 이상인 별들은 밝은 성운을 만드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doi:10.1038/s41550-018-0453- ... ...
[과학뉴스] 공포와 공격성 나타내는 신경회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공포를 느끼거나 공격적인 행동에 관여하는 신경회로가 발견됐다. 앤드류 후버만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신경생물학과 교수팀은 75L짜리 용기에 쥐를 가두고, 맹금류가 무섭게 달려드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했다. 일반적으로 위협적인 상황에 ... ...
[과학뉴스] 피부에 바로 인쇄하는 3D 프린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마이클 맥알파인 미국 미네소타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살아 있는 사람의 손에 인쇄할 수 있는 맞춤형 3D프린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400달러(약 43만 원)가 안 되는 저렴한 3D프린터를 개조했다. 기존 3D프린터는 약 100도에서 잉크를 사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지난 겨울 과일 매출 집계 결과 딸기가 감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전통적으로 3~4월에 가장 많이 팔리는 과일은 오렌지였지만, 이 역시 딸기에게 왕좌를 내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원예작물 중 연간 생산액 1위는 1조3000억 원으로 이 역시 딸기가 거머쥐었다. 요즘 제일 잘 나가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여러 가설 중 두 구조의 물 분자가 공존하면서 4도
이하
에서는 가벼운 구조의 물 분자가 늘어난다는 ‘LLCP(Liquid-Liquid Critical Point)’ 모델을 실험으로 입증한 것이다. 강 수석연구원은 “닐슨 교수팀은 미국과 일본에 있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모두 사용했지만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2월 28일 교육부는 수능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개정안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하
수능)부터 적용되는 것으로,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대상입니다. 이번 개정안이 발표되자 이공계는 반발했습니다. 교육부가 수리 ‘가’형의 출제 범위에서 기하 영역을 통째로 제외했기 때문입니다. ... ...
[과학뉴스] 현대판 ‘프랑켄슈타인’ 만들기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태양과 유사한 별 주위를 도는 행성 중 생명체의 생존 가능 영역에 있고, 지구 크기의 2배
이하
인 ‘슈퍼 지구’를 찾을 예정이다. 슈퍼 지구는 외계행성 중에서도 지구 질량의 2~10배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구형 행성을 말한다. 플라토에는 지름 12cm인 작은 망원경 26개가 탑재되며,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연구 결과는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 근사계산 기법은 계산을 반복하면서 유효숫자
이하
의 정보는 계속 버리는 방식이어서 암호문의 크기가 연산을 반복해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지 않고 이론적으로는 무한히 연산할 수 있다. 천 교수는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을 해결하면 드론처럼 실시간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