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출발"(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그림으로 찾을 수 있어. 위 행렬을 삼차원 공간의 한 점 (x,y,z)로 생각하고 원점에서 출발하는 화살표를 그리면, 이걸 벡터라고 해. 상관관계는 아래와 같이 벡터 사이의 각도로 결정해. 수리통계학자 칼 피어슨이 만든 복잡한 상관관계 공식을 간단한 그림으로 표현한 거야. 이밖에도 두 점 사이의 ... ...
- 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구팀은 각종 탐사장비와 잠수정을 실은 해양과학조사선을 타고 피지의 수바항을 출발했어요. 하루 정도 걸려 도착한 곳은 남서태평양 한 가운데였지요. 연구팀이 이곳까지 온 이유는 바다 아래에 광물 자원이 묻혀 있는 ‘해저 광구’가 있기 때문이에요.해저 광구는 바다 속 광산과 같아요.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모순된다고 윌리엄스는 확신했다. 자연 선택 이론은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에서 출발한다. 개체의 번식성공도를 높여주는 형질은 무엇이든지 선택돼 개체군에 널리 퍼진다. 종의 보존이 아무리 숭고한 목표이건 간에, 남보다 더 오래 살아서 자식을 더 남기게 하는 유전자는 노화를 촉진시켜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후가 (대기 중 화학물질이 아닌) 지구 궤도 변수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실제로 지난 수십만 년 동안 지구 궤도 변수에 의해 빙하기-간빙기 기후가 있었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이런 변화에 뒤따르는 양상을 보였다. 이 때문에 기온이 오르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더라도 ... ...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그리고 3에서 출발해 1, 4, 1, 5, 9로 이어지는 선을 그림➋처럼 그려요. 선의 색은 출발점의 색을 그대로 따라요. 즉 3에서 1로 갈 때는 3의 색인 초록색, 1에서 4로 갈 때는 1의 색인 파란색으로 선을 그려요. 원 안쪽에는 이 선이 어떤 수에서 왔는지, 원 바깥쪽에는 이 선이 어떤 수로 가는지 나타내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외계인의 친구, 지기 스타더스트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지상에 있는 통제팀과 우주로 홀로 떠난 탐 소령과의 대화로 흘러가는 곡입니다. 우주선 출발부터, 우주인이 처음 우주로 나와 지상에 보고하는 내용이 나오지요. 왜 우울하냐고요? 곡의 끝 부분에 나오는 가사입니다.… 지상통제팀이 탐 소령에게 전한다. 문제가 생겨 통신이 끊겼다. 탐 소령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 때 딱 하나의 미성숙 난자가 성숙 기간을 거치는 건 아닙니다. 배란이 되기 약 10일 전, 출발선에 서는 건 12개가 넘는 미성숙 난자들입니다. 그리고는 “준비, 땅!” 성숙과정이 시작되는데요. 성숙에 필요한 난포호르몬이 아주 적은 양으로 분비되기 때문에, 12개가 넘는 난자 중에 결국 단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게임 요소와 규칙은 그대로 하고 게임 공간만 다르게 바꾸는 거예요.오른쪽 그림과 같이 출발점에서 집까지 천적을 피해 가는 길을 찾아가는 게임을 디자인할 수 있어요. 게임플레이어는 사각형 연못에 있는 천적과 마주치치 않게 길을 찾아 가면 돼요. 연못의 개수와 등장하는 동물 조합을 달리해 ...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시리’와 SKT의 ‘누구’처럼 말이 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챗봇이라 한다. 일일이 출발지와 도착지를 정하지 않고 “학교 가는 길 알려줘”라고 말하면 된다. 그러나 챗봇은 아직 어설프다. 시리는 “EXO 멤버는 몇명이야?”는 이해하면서 “EXO는 몇 명이야?”라고 물으면 무슨 말인지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게임 산업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면서 교육과 행정을 차츰차츰 흡수하고 대체한 것이 출발이었다죠.게임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게임이 세상을 삼키면서―문명이 게임화되면서 삶이 죽었다고 해요. 인간이 플레이어에서 유닛으로 전락했으니 당연한 결과라는 거죠. 이제 우리에게 겨우 채집, 채굴,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