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협력"(으)로 총 1,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않은 부분이 많다. 그래도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국경을 넘어선 과학자들 간의 협력 덕분이었다. 지난 5월 10~11일에는 ‘제22차 국제극지과학 심포지엄’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에는 미국과 캐나다, 중국 등 12개국 200여 명의 극지 전문가가 참석했다. 특별강연을 한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암컷을 유혹하는 게 낫지 않을까.행동생태학자 앨런 크라카우어는 두 칠면조 수컷들의 협력 구애는 친형제 간의 이타적 행동으로 설명된다고 제안했다. 이를 뒷받침하고자 해밀턴의 규칙에 나오는 세 변수인 r, b, c를 야외에서 측정했다. 분자유전학 기법을 동원한 결과, 한 팀 내에서 수컷들 간의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탐사를 주도했으며 판구조론과 고체 지구의 순환을 연구하고 있다. 중앙해령 연구의 국제협력기구인 ‘인터리지’의 한국 대표를 맡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극지의 심장은 뜨거웠다Part 1. 북극 :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 ...
- [Editor’s note] 같이 해요!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보세요. 수많은 사람이 협력해서 영화 한 편을 만듭니다.그렇게 보면 학생들이 서로 협력해서 공부하고 뭔가 이뤄내는 수업을 도입하는 건 바람직한 일인 것 같습니다. 기왕 그렇다면 여러분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겠지요?Mamihlapinatapai를 주고받고 있지만 말고요~ ...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인류를 포함해 크고 복잡한 새 생명체가 지구에 등장할 수 있었다.연재 중인 ‘전중환의 협력의 공식’에서도 공존을 만날 수 있다.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다뤘는데, 이는 곧 공존을 가능하게 한 이타성의 기원이다.정기독자에게 제공하는 인포그래픽 브로마이드 ‘5분 사이언스’에도 공존의 ...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협력사에 투자한다. 또 이미 사용된 항공기 부품을 다른 곳에 재활용하는 방법을 고안해 협력사들과 함께 실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0년까지 연료 소비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0%, 질소산화물은 80%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날개는 구부리고 무게는 줄이고안내를 해 주는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집단에서, 이타주의자는 수용자에게 협력을 하면서 -c만큼 적합도가 변한다. 또 수용자의 협력 덕분에 +b만큼 적합도가 변한다. 따라서 두 명의 이타주의자로 구성된 집단에서 이타주의자가 거두는 적합도는 1+b-c가 된다(내가 받는 화살표만 신경 쓰시라!). 즉, 수용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이타주의자의 ... ...
- [과학뉴스] 중력파 또 한 번 관측, 노벨상 후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등 2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들이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KGWG)을 구성해 라이고 과학협력단에 참여하고 있다. 라이고 데이터를 빠르게 수신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 구축과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 기여하고 있다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미토콘드리아가 외부 유전자에 적응하기 위해 엄마의 DNA와 협력하고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전 처음 보는 사람과 소개팅을 할 때 어색한 상황을 피하려고 주선자가 동행하는 것처럼, 배아가 만들어질 때도 익숙한 모계 DNA가 주선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즉,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Sentinel)-4’를 쏘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한미 공동 연구진은 협력 관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분석 결과를 얻기까지는 1~3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경은 교수는 “미국의 경우 항공기를 이용해 수년 동안 같은 지역의 대기 질을 조사하기도 한다”며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