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회전"(으)로 총 2,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고개를 돌리면 두 센서가 각각 x, y,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얼마나 많이, 얼마나 빠르게 회전했는지 감지해서 3차원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세계를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실제로 시선이 이동한 것처럼 느끼게 합니다. 결국 HMD는 ‘눈에 쓰는 마우스’라고할 수 있어요. 진화하는 VR 게임다음 ...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분할) 삼각형 조각으로 만들어야 한다. 점대칭 도형★ 도형을 대칭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처음과 합동이 되는 도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으로 정육면체 유닛을 만들 수 있다. 먼저 ➊처럼 중심 분할한 두 정사각형을 이어 붙인 뒤, 빨간색 선을 따라 4조각만 잘라낸다. 그러면 ... ...
- [Tech] 그래픽 카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60도 이상 올라가면 냉각팬이 작동하도록 제작돼 있었습니다. 냉각팬 3개가 온도에 따라 회전 속도를 조절하고, 온도가 높지 않을 때는 작동을 멈춰 소음을 줄이는 시스템입니다. 또 GPU가 있는 메인 기판에도 팬을 연결할 수 있는 헤더가 있어 GPU 온도에 맞춰 작동하는 냉각팬을 추가로 설치할 수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우선 후류역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인공어초로 바닷물이 들어올 때 물이 회전하면서 어초 내부와 주변에 역방향의 흐름이 생기는데, 이 영역을 ‘후류역’이라고 합니다. 후류역은 인공어초 설계에 아주 중요한 요소예요. 물고기가 헤엄칠 때 힘이 적게 들고 해조류 포자를 주변 암반에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만들어 프로그래밍하면, 저절로 움직입니다. 날아다니는 물체는 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삼차원 운동을 하기 때문에 기하학적인 분석을 토대로 설계해야 안정적으로 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공간에서 물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려면 물체의 움직임을 3차원 좌표축 위에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가장 진땀 나는 상황은 교차로에서 신호도 없이 ‘눈치껏’ 가야 하는 비보호 좌회전을 할 때였을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인공지능(AI)으로 이 상황에 대처한다. 기존의 차량 제어 시스템은 센서가 전방의 물체를 인식하면 속도를 줄이거나, 차선을 넘어가면 핸들을 옆으로 꺾어주는 정도가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화면에 씨로버 R100을 움직이는 버튼이 나타난다. 상승과 하강, 전진과 후진, 좌회전과 우회전 등 6개 방향으로 조종이 가능하다. 로봇이 수심 몇 m에 있는지 위치를 심도로 알려주고, 어두운 곳에서는 로봇에 달린 전조등을 켤 수 있으며, 카메라를 위아래로 움직여 원하는 위치를 촬영할 수도 있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마이클 잭슨의 ‘배드’ 눈으로 보는 음악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때였지요. 초반에는 그저 미끄러지듯 뒤로 걷는 동작만 했지만, 이후 옆으로 가거나 회전하는 동작을 추가해 대중에게 다양한 모습을 선보입니다. 스릴러 앨범이 나온 1980년대는 기술도 상당히 발달했던 시기입니다. 이것은 잭슨의 최고 전성 기를 이루는 발판을 만들어줍니다. 덕분에 몸을 30°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게팅 오버 잇 위드 베넷 포디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해당하고, 주인공이 들어 올려야 하는 자신의 몸뚱이는 엄마의 무게에 해당합니다. 회전운동의 중심인 망치의 끝은 시소의 중심점에 해당 하고요. 문제가 뭔지 눈치 챘나요? 망치의 끝에서 손까지 거리보다 몸뚱이까지 거리가 더 멉니다! 이건 자기 몸을 들어올리기 위해 실제 몸무게보다 더 큰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한 쪽이 더 밝게 보이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예를 들어 블랙홀이 회전할 때 고리에서 왼쪽은 빛이 우리를 향해 오고 오른쪽은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우리가 보기에 왼쪽의 빛이 오른쪽보다 더 밝게 보이는 거죠. 정태현 박사님은 “블랙홀 관측 연구는 기존의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