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흐름"(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용해 지구 내부 물질들의 움직임 시계 방향을 분석했어요. 지구 자기장, 외핵의 흐름 속도, 맨틀과 핵의 밀도 등 지구 내부를 구성하는 물질들의 특성들을 모두 종합해 이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현한 거예요.분석 결과, 지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건 외핵에 작용하는 반작용 때문이라는 게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간 국립과천과학관에 가면 아주 특이한 시계를 만날 수 있다. 바로 구슬로 시간의 흐름을 알려 주는 ‘굴러가는 시간’이다.이 시계는 1분마다 하나의 구슬이 레일을 따라 굴러 내려오는 데, 앞에 놓여 있는 세 개의 구슬을 치면 반동에 의해 가장 앞에 있는 구슬이 굴러가 분을 알리는 곳에 ...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전기이고, 교류는 크기와 방향이 일정한 주기로 바뀌는 전류입니다. 교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인(sine)파를 그리며 움직입니다. 우리나라 가정에서 사용하는 220V 전기가 바로 교류입니다. “무선으로 전 세계에 전력을 공급하겠다.”한편, 에디슨의 회사를 나온 니콜라 테슬라는 ... ...
- [Editor’s Note] Future & Origin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보는 게 한 가지 흐름이고, 인류, 지구, 우주의 ‘기원’을 찾아가는 게 다른 한 가지 흐름입니다. 2017년 과학동아는 이 두 축에 따라 기사를 정렬해, 멀리 보고 깊이 생각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과학기자의 눈에 비친 정치, 경제 등 사회 이슈 속 과학이야기 역시 꾸준히 게재합니다.좋은 기사를 더욱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권 선임연구원은 “CCTV 속 사람들을 패턴인식한 뒤 수식으로 모델링하는 작업이 흐름을 예측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말했습니다.STEP 3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대피로를 설계! 완성된 수식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할 차례입니다. 광화문 광장 가운데에 차벽을 설치하는 방법을 크게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팩토리’라는 프로젝트다. 헤드셋은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흐름이 두피로 전달되는 뇌전도(EEG)를 감지하는 장치다. 수집한 EEG 데이터를 작가가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3차원 형태로 변환한 뒤,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최두은 아트센터 나비 겸임 큐레이터는 “인공지능 시대에 ... ...
- 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해 준답니다. 만약 덮개가 울퉁불퉁하다면 공기의 흐름이 끊기면서 소용돌이가 발생해 공기저항이 커질 거예요.에타는 이외에도 타이어를 아주 얇게 만들어 땅과의 마찰력을 최소화 했어요. 또한 튼튼하면서도 가벼운 탄소섬유를 소재로 사용해 무게를 25kg까지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됐어요. 그래서 사람들은 새의 날갯짓을 주의 깊게 연구했고, 마침내 날개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방법을 터득했죠. 덕분에 거대한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고, 우리는 한 시간 만에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갈 수 있게 됐답니다.비행기가 날 수 있는 건 날개가 ‘양력’이라는 힘을 받고 있기 ...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75% 정도가 사용할 만큼 유명해요. 창의로보올림피아드 대회에 참가한 친구들도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춰 레고 로봇으로 소프트웨어 코딩 교육을 받고 대회에 나갔답니다.로봇 소프트웨어 코딩 교육은 올해 처음 참가하는 친구들을 위한 초급 과정과 2년차인 중급 과정으로 나눠서 진행됐어요. 교육을 ... ...
- Intro. 진도 앞바다는 보물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달과 태양의 힘에 의해 하루에 2번 해수면이 높아졌다 낮아지면서 생기는 바닷물의 흐름이에요. 이 지역은 해수면 높이의 차이가 평균 3~4m나 날 정도로 매우 크지요. 그러다 보니 많은 배들이 이곳을 지나면서 조류의 힘을 이기지 못해 뒤집히거나 부서졌고, 바다 아래에 묻히게 되었답니다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