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여행"(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고와 함께한 '꿈나라 여행~~'기사 l20230807
- 동아사이언스 두 번째 방문이다. 한번 왔던 곳이지만 다시 와도 떨린다. 제일 먼저 도착해서 교육장소에 들어가 혼자 앉아 있는데 계속 떨렸다. 홍승우 작가님도 같이 있었다. 바빠 보이신다. 처음 시간은 꿈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꿈은 왜 꾸는지에 대해서도... 가위에 눌렸을 때, 몸이 움직이지 않는 건 정신은 깼지만 몸이 깨지 않아서 그렇다는 것 ...
- 이 시기에 여행..포스팅 l20230805
- 요즘 막 칼부림나고 살인예고 뜨고 그런데 여행을 가는게 맞는 일일까요?.. 그리고 우리나라 그나마 치안이 좋다고 들었는데.. 빨리 정부에서 대책을 세웠으면 좋겠네요. 이 흉흉한 세상... 잘 살아봅시다..... ...
- '암흑 물질 탐정' 유클리드 망원경이 보내준 감격의 첫 사진 공개!기사 l20230803
- 나선 은하와 타원 은하를 찾아보세요. 숨은 그림 찾기처럼 재미있거든요. '우주 숨은 그림 찾기'로 폭염 방콕여행 중이지만 우주여행을 잠깐 다녀오실 수도 있으실 겁니다. 그럼 왜 이토록 지구에서는 우주망원경을 보내서 우주 사진을 찍으려는 것일까요? 바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찾아 우주 기원을을 밝히려는 것입니다. 이번 달 어린 ...
- 서울갔다고 생애 최초로 유명인 3명 본 썰 (ft. 축구선수 , 전 국무총리 , 래퍼 )포스팅 l20230801
- ,, 제가 이번에 서울여행을 친구들이랑 2박 3일로 다녀왔는데두번째날에 유명인만 3명봤음니다 ,,,일단 이야기 들어가기 전에 제가 묵던 호텔에 우연히 맨체스터시티 축구팀이 친선경기로 묵고 있었다는 점을 ,,알려드리고 싶네요일단 첫째로 본 유명인은 ,, 맨채스터 시티 전체라고 보면 되요 전체적으로 제가 본 축구선수 중에 제일 유명한 분은 엘링 홀 ...
- 우리나라 첫 농학박사님 김삼순 박사님( 챌린지)기사 l20230731
- 김삼순 박사님의 꿈은 선생님이 아닌 농업박사셨죠. 그래서 선생님을 포기하시고 박사가 되실려고 또 일본으로 가십니다..(일본 여행가고 싶은 :우*서님 또 마치시고 균을 조사하시는 것입니다. 결국 김삼순 박사님은 균 농학박사입니다. 균을 조사하시는 박사님이라는 말입니다. -*균 세균을 말함 좋은세균도 있고 나쁜 세균도 있음 꼭 세균이 나쁜것만은 ...
- (챌린지)조선을 누빈 나비 박사 석주명기사 l20230731
- 석주명 박사님은 13년 동안이나 중학교의 교사로 계셨는데, 나중에 그의 스승인 원홍구라는 분을 따라서 전국 각지로 나비 채집 여행을 시작합니다. 석주명 박사님은 자랑스러운 많은 업적들을 남기셨습니다. 먼저 첫 번째로 영국 왕립 아시아 협회의 논문 의뢰를 받아 열심히 나비를 연구한 끝에 '조선산 나비 총목록'이라는 책을 완성하셨습니다. 그리고 ...
- 혹시 일본여행에서 좋앗던곳있을까요..?포스팅 l20230730
- 제가 8월13일 그쯤에 일본여행을 가는데 자유여행으로 가는거라 지금 어디어디갈지 일정 짜는 중이거든요..!! 도쿄쪽으로 알아보고있긴한데 혹시 좋으셨던곳 있으시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놀러갔다와서 후기도 남길게요 코스 짜는게 급해가지고..알려주시면 감사할것같아요..!!!!!,, ...
- 과일 구멍 나방탐사기록 l20230729
- 남해에 여행와서 밤에 채집했어요 ...
- [챌린지] 우리나라의 나비박사! 석주명 박사님기사 l20230729
- 영생교보 생물학자로 부임하여 2년간 재직하셨다가 박사님의 스승을 따라 개성 송도고보에 재직하면서 전국각지로 나비채집여행을 떠나셨습니다. 나중에 석주명 박사님은 영국 왕립 아시아 협회의 의뢰를 받아서 한국의 나비들의 동종이명 목록을 작성한 조선산 접류목록을 1940년 출간함으로써 전 세계적인 나비학자로 우뚝 서게 되었다. (출저:위키백과) 이렇 ...
- [챌린지]한국의 파브르 석주명 선생님기사 l20230729
- 민족성을 심은 분이기도 합니다. 출처-포토뉴스 (1908~1950) 우리나라 나비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생물학자인 석주명 선생님은 채집여행을 다니며 75만 마리의. 나비를 통계적으로 처리했습니다. 일본제국대학 교수등 많은 학자들의 잘못된 연구에 지적을 하고 바로잡음으로써 식민지 시기에 우리민족의 자긍심을 높였습니다. 통계학적 지식을 생물분류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