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위성"(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갔다 하면서 걸린 시간을 측정하면 내가 있는 위치를 알 수 있죠. 이런 방식으로 우주에 쏘아 올린 로켓이 어디쯤 날아갔는지, 인공위성이 어디에 있는지도 다 알 수 있죠. 그래서 더 정확한 시간을 만들어 낼수록 더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게 되는 거죠. 어때요? 시간으로 거리를 알 수 있다는 말, 이제 이해됐나요? 제가 만드는 시간은 아주~ 아주 ...
- “이리 와 이리 와”좀비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구리빛으로 태워 보고 싶지 않으세요? 미국항공우주국(나사)이 최근 ‘세계햇빛지도’를 공개했어요. 이 지도는 미국과 유럽의 위성을 통해 1983년부터 20년 이상 자료를 모아 만들었어요. 한 마디로 햇빛이 지구의 어느 지역에 얼마나 비치는지 알려 주는 지도죠. 사하라 사막 1m²에 1시간 동안 쏟아지는 태양 에너지는 미국의 한 가구가 하루 동안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함께 참여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2006년 9월 유럽연합과 협정을 체결했지. GPS와 갈릴레오 시스템은 앞으로 ‘GNSS’라는 하나의 위성항법시스템으로 통합될 계획이야. 그렇게 되면 둘 중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길을 잃고 헤매는 혼란은 줄일 수 있을 거야. 아직 갈릴레오 시스템이 완성되진 않았지만, 지오베-A가 보내오는 정보를 이용해야겠군. [소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본격적으로 달 개발을 시작해 다행이에요. 과기부는 2010년 이후 3, 4년에 한 번씩 100㎏급 위성과 매년 2기 안팎의 1~10㎏급 초소형 위성을 쏘아 올려 발사 기술을 확보한다고 해요. [소제시작]지구, 지다[소제끝] 일본은 9월 13일 첫 달 탐사선인 ‘가구야’를 발사했어요. 가구야는 현재 달 궤도에 진입해 달을 돌고 있죠. ...
- 옥토끼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화성·금성 탐험존 등 9개 체험관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곳에서는 소유즈를 비롯해 여러 가지 로켓과 국제우주정거장,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월면차 등 우주 개발에 관련된 500여 점의 전시물을 볼 수 있어요. 여기에 무중력 상태를 경험해 보는 G포스를 비롯해 로켓 타기, 월면 걷기 등 20여 개의 체험 시설도 마련되어 있답니다. 옥외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1)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6} 나는 1988년에 태어나 지금까지 가장 활발한 정찰 활동을 하는 무인비행기야. 최대 시속 635㎞로 날면서 세계 곳곳의 정보를 빼내 인공위성을 통해 우리 기지로 보내지. 적외선탐지시스템으로 적을 추적해 실시간으로 알려 주니, 내가 있으면 정말 든든하겠지? 최대 36시간까지 날면서 지름 1만㎞ 원 안에 있는 지역의 정보를 속속들이 알아 낼 ...
- 랄랄라~ 고속도로가 노래를 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귀신이 곡하는 건 아니네요. 그렇다면 노래가 들리는 곳이 어디인지부터 알아봐야겠어요. 제트, 위치를 파악해 줘.” 제트가 인공위성 위치추적 시스템을 이용해 알아 낸 정보에 의하면 이 곳은 경기도 시흥시 금이동 부근에 있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였다. “그런데 이상한 건 특정한 구간에서만 멜로디가 들린다는 거예요. 제가 졸다가 그 소리를 듣고 깜짝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본 기사는 현재 연구 중인 인공위성 기술을 바탕으로 가상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안녕? 난 스푸트니크 1호야. 내가 누군지 모른다고? 이럴 수가! 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이라고! 2007년 10월 4일은 내가 발 ... 우주센터에서 과학기술위성2호가 러시아와 공동으로 개발한 소형위성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세계 13번째로 우주센터를 만들었다는 걸 알고 있나요?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나로우주센터가 건설되었어요. 2008년엔 과학기술위성2호가 우리 로켓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지요. 앞으로도 우주 개발은 꾸준히 이뤄질 거예요. 지금은 러시아의 우주선으로 가지만 미래에는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유인우주선으로 우주에 갈 수 있답니다. 앞으로도 우주인이 될 ...
- 종이로 만든 반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밴 앨런 출생 미국 아이오와주에서 태어난 밴 앨런은 우주물리학자가 돼 각종 천체 관측기기를 개발했다. 1950년대 말 미국의 첫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가 지구를 돌다 그의 장비를 이용해 지구를 감싸고 있는 강력한 방사능대인 밴앨런복사대를 발견했다. 이 곳은 우주에서 날아오는 해로운 우주 입자가 지구에 닿지 않도록 보호한다. {BIMG_R13} ...
이전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