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측정"(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2)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힘들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방사능 스캐너를 이용하면 구멍을 뚫지 않고도 땅 속을 볼 수 있다. 물질을 파괴하지않고 밀도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을 쏴서 땅 속의 상태를 낱낱이 알 수 있다. 마치 몸 속을 볼 수 있는 초음파 내시경과 같다. 바다 속 지도를 만드는 수중로봇 땅 속과 마찬가지로 바다 속도 사람이 볼수 없는 미지의 세계다. ...
- 내 뱃속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아밀라아제가 녹말을 엿당으로 바꾸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준비물은 녹말이 풍부한 삶은 감자와 35℃ 가량의 따뜻한 물, 당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다. 삶은 감자는 둘로 나누어 한 쪽은 잘 으깨 두고 다른 한 쪽은 약 3분 가량 잘 씹어 두자. 어떻게 변했을까? A컵에 넣었던 검사지는 변화가 없는 반면 B컵에 넣었던 검사지는 보라색으로 ...
- 동이마을 비내리제어린이과학동아 l20061031
- 목이 빠지게 기다리고 있다. 마을에 가뭄이 들면 중앙정부에 인공강우 신청을 할 수 있다.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구름의 변화상태를 측정한후 구름에 비의 씨를 뿌리면 특별한 기상 이변이 생기지 않는 한 비가 내린다. 한가지 문제가 있다면 인근의 마을에서 동의를 해야만 인공강우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 마을에서 인공강우를 해서 구름을 다 써버리면, ...
- 3짱 프로젝트-살은 왜 찌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012
- 있는지 측정해 봅니다. 몸무게는 적어도 근육의 양은 적고 지방의 양이 많다면 비만이랍니다. 가장 정확한 비만 판단 방법이지만 측정 도구가 없으면 하기 어려워요. 2. 비만도 그래프로 알아보기 키와 몸무게가 만나는 점이 어딘가요? 그 곳이 바로 내가 뚱뚱한지, 정상인지, 마른 것인지를 알려 주는 지점이랍니다. 살 왜 빼야 해? {BI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830
- 찾기가 쉽지는 않다. 몇 시간을 헤맨 끝에 한가로이 낮잠을 자고 있는 고릴라 가족을 만났다. 고릴라는 온순한 동물이라 어떻게 힘을 측정해야 하나 고민하다가 어쩔 수 없이 가족들의 낮잠을 방해하기로 했다. 해칠 마음은 없었지만 고릴라들을 위협하자 키 2m에 몸무게가 250㎏이 넘는 수컷 고릴라가 이빨을 드러낸 채 괴성을 지르며 가슴을 치기 시작했 ...
- 3짱 프로젝트-향기로운 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0830
- 냄새가 난다면 이비인후과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지요. 오랫동안 자주 입 냄새가 난다면 치과를 가 보세요. 입 냄새가 얼마나 나는지 측정하고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찾아 내 치료를 하면 입 냄새를 없앨 수 있답니다. 자신 있게 꼬물꼬물, 만세! 킁킁, 내 몸에땀냄새, 발 냄새가 나는것은 아닐까 걱정하는 친구들. 제가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해 줄게요. ...
- 줄무늬와 점무늬 옷을 입은 자연어린이과학동아 l20060414
- 위치한 남해는리아스식 해안이라고 부르는 톱니 모양의 아주 복잡한 굴곡을 이룬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남해안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 전체가 보이는 큰 규모의 지도에서는 가능하다. 그러나 더 크게 확대된 지도에서는 아마 처음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다. 너무 작아서 첫번째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았던 수많은 만과 곶이, 확대된 지도에서는 ...
- 태양과 계절의 변화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태양빛만 있다면 그럴 필요 없습니다! 궁금한 친구들은 3월 21일 춘분날 12시 30분을 잊지 말고 기억해 두었다가 19쪽의 간단한 태양 고도측정기를 통해 직접 위도를 알아보세요! 여기서 잠깐 ! ⊙ 위도와 경도란 무엇일까요? 주변에 지구본이나 세계 지도가 있다면 한번 자세히 들여다봐요. 지도 위에 일정한 간격의 가로와 세로 줄이 있는 것이 보 ...
- 날씨가 척척, 디지털예보 시대!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1996년 9월 안면도에 배경대기관측소 건립 배경대기관측소는 현재의 지구대기감시관측소로 지구를 따뜻하게 만드는 온실가스의 양을 측정한다. 2005년 10월 디지털예보 시험 시행 디지털예보(www.digital.go.kr)는 기온이나 습도, 강수량, 바람 등을 3시간 간격으로 이틀 뒤까지 인터넷으로 알려 주는 서비스다. 전국을 가로·세로 5㎞의 ...
- 태양빛과 그림자가 알려주는 시간과 방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세워진 오벨리스크도 같은 구실을 하는 것이었지요. 그럼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해시계를 사용했을까요? 이미 고구려나 백제에 시간을 측정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기록들이 있으나 현재 전하는 유물은 없어요. 그러나 조선시대에 세종의 명에 따라 과학기술자들이 7년여에 걸친 긴 연구 끝에 1437년 4월 앙부일구와 같은 정밀한 해시계를 완성했어요. 이후 신법 ...
이전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