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내
내륙
오지
내국
뉴스
"
내지
"(으)로 총 780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세포→장기 순으로 연구… ‘상향식 생물학’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현상을 연구하는 ‘상향식(Bottom Up·보텀업) 생물학’에 주목하고 있다. 이전에는 밝혀
내지
못했던 복잡한 생명 현상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세포의 기능과 작동 기전을 연구할 때 기관에서 조직으로, 조직에서 세포로, 다시 세포에서 세포를 구성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분노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
2018.11.24
지위가 높은 사람이 화를 낼 때 보다 약자가 화를 낼 때 ‘뭐 잘 한 게 있다고 화를
내지
?’같은 태도를 더 쉽게 보인다. 똑같이 화를 내도 남성이 화를 내면 뭔가 화가 날만 한 일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여성이 화를 내면 예민하게 군다거나 감정적이어서 믿을 수 없다는 정 반대의 태도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에 주목하라 '보텀업 세포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세포를 밑단에서부터 재구성할 수 있게 됐고, 이런 상향식 접근을 통해 이전에는 밝혀
내지
못했던 복잡한 생명현상의 단서를 찾을 수 있으리란 기대가 있다. 인공세포를 만들기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은 20년 전부터 이어져 왔다. 대표적인 것이 다공성 인공 세포막이다. 신약 후보물질이나 ... ...
"어디라야 안전할까" 美-EU 화성 탐사 로버 착륙지 놓고 '고민'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플라눔(Syrtis Major Planum) 내 2개 지역 등 모두 세 곳을 후보로 선정했지만 아직 최종 결론을
내지
못했다. 컬럼비아 힐스는 2004년 1월 이 지역 인근에 착륙해 2010년 3월까지 활동했던 로버 ‘스피릿’을 통해 유황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지역이다. 유황은 고세균이 에너지원으로 사용한 물질로 ... ...
적층식 전자회로, 출고전 오류 100%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중 몇 개의 샘플을 꺼내 표면을 뜯어내 내부를 검사한다. 이 방법은 불량을 완전히 걸러
내지
못할뿐더러 샘플 손실 비용도 문제가 됐다. 안 연구원은 회로를 뜯지 않고 TSV를 검사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광학현미경과 공초점현미경, 분광간섭계를 동시에 사용해 TSV의 모양을 입체적으로 측정하는 ... ...
"신고리4호기 기술·허가기준 만족하지만"…원안위 가동허가 결론 못내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허가가 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이날 원안위원들은 검토보고를 받고 결론을
내지
않고 회의를 마쳤다. 원안위 전체회의는 한달에 두 번 열리는 점을 감안하면 내달 14일 열리는 다음 번 회의에서도 심사보고서에 대한 검토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계와 일부 ... ...
“물리-화학-평화상에 여성… 2009년 5명 이후 두번째로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심하겠어요? 스웨덴 한림원의 한 종신심사위원 남편의 성폭력 혐의에 아예 수상자를
내지
않았죠. 마리: 업적 이야기를 해볼까요? 도나는 레이저를 짧고 강하게 발사하는 법을 개발해 상을 받았죠. 대표적인 응용과학으로 꼽혀요. 그 레이저를 약화시켜 인체에 쓰는 게 라식 등 안과 수술이죠? 201 ... ...
초고해상도 나노픽셀로 고효율 OLED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가진 준입자인 엑시톤이 생성된다. 이 엑시톤의 30~40%가 다시 전자와 충돌할 때 빛을
내지
못하고 자신의 에너지를 열로 방출한다. 열역학에서는 일을 하지 못하는 열은 손실로 구분한다. 연구진은 나노픽셀층(nPDL)을 구성해 OELD 내부에 넣었고, 이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엑시톤의 효율이 좋아져 ... ...
개미에게 먹힌 도마뱀
팝뉴스
l
2018.10.04
도마뱀은 왜 도망가지 않았을까. 도마뱀이 저항을 했다면 개미는 공격할 엄두도
내지
못했을 것이다.” 위는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 리딧에 최근 공개되어 큰 주목을 받은 사진이다. 도마뱀이 건물 벽에 거꾸로 붙은 채 개미들의 공격을 당했다. 어떻게 저런 일이 벌어질 수 있을까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5관. 신약 개발로 이어진 전통 약재의 생명력
2018.09.21
함께 배합해서 썼다. 독성 있는 약재를 실제로 사용할 때는 이처럼 여러 단계의 중화
내지
약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포부자는 현재 한의원에서도 종종 사용하는 약재다. 조선의 대표적인 의서 ‘동의보감’에는 부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돼 있다. 동의보감에는 부자의 약성이 매우 강해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