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뉴스
"
단점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역당국 "서울대 도입 신속 PCR '제한적 상황'에서 적용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이내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기존 PCR 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
이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바이러스 배출량이 적은 코로나19 환자를 놓칠 수 있다. 질병관리청은 신속 PCR검사를 응급실 내에서 6시간 내 수술이 필요한 무증상 환자에게만 사용하도록 규정한다. 윤 반장은 ... ...
LED로 감성 충만 ‘햅틱’ 구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기기 전체에 동일한 진동 효과가 전달돼 부분별로 세밀한 촉감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게
단점
이다.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해 순간 온도 변화에 따른 충격파로 진동을 만들어내는 기술이 개발됐지만 레이저 가격이 비싼 데다 소형화가 어려워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연구진은 손가락의 ... ...
데이터 홍수 걱정 없는 저장장치의 차세대 주자들
과학동아
l
2021.02.27
단 두 개의 숫자로 표기해야 하기 때문에 저장 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다는 점은
단점
으로 꼽힌다. 십진법으로 표기하면 ‘10’이라고 두 글자로 저장하면 되는 정보가 이진법에서는 ‘1010’이라고 네 글자로 표기돼야 한다. 막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다루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1.02.25
감염병이 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응하는 방법은 사뭇 다르다. 이러한 여러 장
단점
및 경제성, 시장성을 따질 겨를이 없는 것이다. 전 세계 연구진이 최첨단 과학기술을 총동원하여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표면의 스파이크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10개 이상의 ... ...
한국, 차세대 태양광 페로브스카이트 공식 비공식 최고효율 기록 획득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제공 페로브스카이트는 상용화를 위해 대면적에서 효율을 확인해야 하고, 수분에 약한
단점
등 구조적으로 약하다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도 과제다. 서 책임연구원은 “페로브스카이트는 작은 단위소자에서 안정성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이 해결되고 있다”며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하고 ... ...
500번 충·방전해도 높은 에너지 밀도 유지하는 양극 소재 합성법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리튬이 이탈해 구조적인 붕괴가 일어나 양극 소재의 에너지 밀도가 대폭 줄어드는
단점
이 있다.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니켈, 망간 같은 전이금속과 리튬층이 완전히 분리돼있는 것보다 리튬층에 니켈 등이 일부 섞여 있으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양극 소재를 ... ...
코로나 접촉 위험 알림 서비스 뒤에 ‘철옹성’ 암호 기술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발견되지 않았지만 한꺼번에 많은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로 풀릴 수 있다는
단점
이 있다. 반면 동형암호는 소인수분해보다 더 많은 계산이 필요한 '격자 문제'를 이용했다. 격자 문제는 격자 위의 한 점과 인접한 점 중 가장 가까운 점을 찾는 문제다. 바둑판 같은 2차원 격자에서는 한 ... ...
[코로나 과학전쟁]식물에서 얻는 단백질 백신 개발 국내서 도전...코로나 '게임체인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백신은 주로 달걀이나 동물세포를 이용한다. 제조하는 데 수개월 이상 소요되는 게
단점
이다. 포스텍과 바이오앱, 국립보건연구원은 동물세포가 아닌 식물에서 바이러스 항원 단백질을 재조합하는 백신 개발에 나섰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스파이크단백질 유전자를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유기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유리와 비슷한 무기물 소재의 필터는 빛을 반사한다는
단점
이 있다. 렌즈를 통해 들어온 가시광선이 반사되면 원래 상이 맺혀야 할 곳에 맺히지 못하고 엉뚱한 곳에 맺히는 '고스트 현상'이 일어난다. 사진을 찍었을 때 불빛의 잔상이 여기저기 보이는 이유가 바로 ... ...
1만번 접었다 펴도 '괜찮아'…접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인듐주석산화물(ITO)이 주로 사용됐는데, 이 소재가 여러 차례 접거나 휘면 깨지기 쉽다는
단점
이 있다. 연구진은 ITO를 대체하기 위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가 박힌 폴리이미드(PI)로 이뤄진 투명 전도체 필름(SWNT-PI)을 개발했다. 기존에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사례가 있었지만,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