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이져
레이저광선
광선
광메이저
ipod
ipodmini
ipod 5세대
뉴스
"
레이저
"(으)로 총 1,04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여러달 걸릴 실험 며칠 만에 끝내는 '로봇 화학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7.11
인공지능(AI)를 이용하는 자율 로봇에서 흔히 사용되는 카메라 비전 시스템 대신
레이저
스캐너와 촉감을 이용해 위치를 확인하는 센서를 채택해 어두운 곳에서도 혼자 위치와 자세를 바꾸며 일할 수 있게 했다. 이 로봇은 사람이 쓰던 똑같은 화학 실험실에서 사람과 똑같은 화학 실험도구를 ... ...
중성자별 이중성계 관측해 우주 팽창속도 '고민' 푼다
연합뉴스
l
2020.07.09
뒤에서 서로 충돌하며 합병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때는 지난 2017년 8월에 '라이고'(LIGO·
레이저
간섭중력파관측소)가 최초로 포착한 'GW170817'과 같은 중성자별 간 충돌에 의한 중력파를 만들어낼 것으로 보인다. PSR J1913+1102 두 별의 질량은 각각 태양의 1.62배와 1.27배로 질량비는 0.78로 측정됐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빛이 전자기법칙을 따라 진행하는 파동이라고 정의했다. 전자기파 이론은 무선통신부터
레이저
까지 오늘날 IT산업의 기초가 됐다. 과학동아DB 맥스웰 방정식의 등장으로 고전 전자기학이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빛이 전자기 파동이라면 파동의 매개체가 ... ...
태양계 무게중심 100m 이내로 오차 줄여 블랙홀 연구 도약
연합뉴스
l
2020.07.06
전파가 미세하게 늦어지는데, 이런 작은 차이를 포착하려 했다는 것이다. 지난 2015년 '
레이저
간섭중력판관측소'(LIGO)에서 처음 포착한 중력파는 블랙홀이 서로 가까이서 돌면서 충돌할 때 나오는 것으로 블랙홀과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풀어내는 단서가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논문 공동 ... ...
한반도 뒤덮는 규모 '최장 번개', 우주에서 보니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대기과학'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레이저
를 쏴 번개가 구름 위로 치도록 유도하는 '유럽
레이저
피뢰침' 프로젝트에 이를 적용하기로 했다. ●국내선 비교적 잠잠 국내에서는 아직 지상에서만 번개를 관측하고 있다. 경기도 파주와 부산, 서해 백령도와 동해 울릉도, 남해 제주도 등지에 21개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지를 치며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빛
동아사이언스
l
2020.07.04
이렇게 빛이 가지를 치며 퍼지는 모습을 관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으로 만든 빛을 얇은 비누막에 통과시킨 후 이를 실험 망원경을 이용해 관찰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빛이 가지를 치며 뻗어나가는 모습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얇은 비누막을 가지고도 빛이 ... ...
독자 기술로 제작한 대형 천체망원경, 광주과학관에서 일반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추적 기술을 확보했다. 에스엘랩은 이를 통해 지구 근접 천체, 인공위성 추적 및 우주
레이저
통신이 가능한 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에스엘랩은 “이번 망원경 제작을 통해 직경 2m급 망원경을 국산화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며 “다양한 궤도의 비행물체, 우주 물체를 추적할 수 있는 ... ...
'1조분의 1초'만에 원자가 분자로 바뀌는 전 과정 세계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설치된 후로는 이 가속기의 X-선자유전자
레이저
를 이용해 연구했다. 포항
레이저
의 분해능은 150펨토초 정도로 여전히 실시간보다는 부족하나 연구팀은 촬영을 여러 번 해 시간 사이 숨은 정보를 추출했다. 이 부연구단장은 “자를 보면 눈금은 1mm지만 이보다 작은 것도 눈으로 보며 잴 수 있다”며 ... ...
中, 서울-도쿄 거리 위성 양자암호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라며 “판 교수의 2017년 연구도 많은 광자를 생성할 수 있는
레이저
의 특성 덕분에 성공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판 교수는 올해 연구에서는 얽힘 광자 쌍을 검출하는 효율을 높였다. 먼저 중국의 선전시 난산구와 여기에서 1120km 떨어진 더링하시에 양자실험을 ... ...
"우주는 훌륭한 양자역학실험실…ISS서 BEC실험 첫 성공"
연합뉴스
l
2020.06.15
중력의 영향이 큰 걸림돌이 된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루비듐 원자를
레이저
로 절대영도 가까이 냉각해 BEC를 만들고 그 특성을 측정하는 실험장치(CAL)를 제작해 2018년 5월 ISS에 올려보냈다. 이 장치는 300~400㎞ 상공에서 지구를 도는 ISS에 설치됐지만 실험과 측정 등 모든 조작은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