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1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기기 발열 막는 단서 발견…테슬라 밸브 원리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안에서 열 흐름을 제어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테슬라 밸브는 약 100년 전 오스트리아
물리
학자 니콜라 테슬라가 발명하고 특허를 낸 시스템이다. 유체의 특성을 활용해 기계장치 없이도 유체 흐름을 한쪽 방향으로만 더 빠르게 흐르도록 통제할 수 있다. 테슬라 밸브의 작동 원리. 위의 ... ...
고체·액체 성질 함께 가진 '전자 결정' 최초 발견…
물리
학 난제 풀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이어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전도체와 초유체의 미시적인 원리를 밝혀내고
물리
학의 오랜 난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 doi.org/10.1038/s41586-024-08045-0 - doi.org/10.1038/s41586-021-03683- ... ...
[과기원NOW] KAIST 개발 산소 발생기, '다이슨 어워드' 탑 20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이번 워크숍은 AI 시스템의 위치와 역할을 컴퓨터나 서버에 한정하지 않고 일상 속
물리
시스템과 AI의 융합 사례, 이를 위한 인간-AI 상호작용 설계 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 ...
"의대 휴학 승인 존중" vs "총장이 승인권자"…대학별 다른 행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존중한다”고 말했다.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해도 밀린 교육과정을 소화하기
물리
적으로 어렵다는 판단 또한 휴학 승인의 배경이 됐다. 유 총장은 휴학 승인을 취소할 수 있냐는 질문에 “내가 취소할 법적 근거는 없다”고 말했다. 지난 8일 교육부는 의대가 있는 대학 40곳에 총장이 휴학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② 지질연의 달 자원 탐사 '눈높이 교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6
우주에서 날아온 운석 조각을 직접 관찰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연구원들은 운석의
물리
적 특성과 그 안에 포함된 원소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달과 유사한 자원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달 토양을 모사한 '모사토'를 보이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달 자원 ... ...
자동차 무게 견디는 '인공근육', 고무처럼 8배 이상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자성 복합 인공근육을 개발했다. 특수 표면 처리한 강자성 입자는 형상 기억 고분자와
물리
적 얽힘을 형성해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자기장에 대한 빠르고 효율적인 반응을 가능하게 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근육은 최대 2700배까지 강성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 ...
서울대 총장 "의대생 휴진 승인, 의대 학장 결정 존중"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의원 질의에는 "사전 협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또 의대는 대학 본부 요청에 따라
물리
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어렵고 학생 복귀를 위한 설득이 필요하다고 소명했다고도 덧붙였다. ● "사직 처리 지연으로 불이익" …전공의 57명 국립대병원에 손배소송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한 ... ...
의료영상까지 휩쓴 AI…국내 솔루션에 해외 이목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인공지능(AI) 기술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올해 노벨
물리
학상과 노벨화학상을 휩쓴 인공지능(AI)의 활약이 의료영상 진단 산업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의료영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가공하는 기술까지 정교해지면서 임상현장 도입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 기업들이 개발한 AI ... ...
17일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거리는 약 35만7400km로 지구-달 평균 거리인 38만4400km보다 약 2만7000km 가깝다. 달과 지구의
물리
적인 거리가 조금 더 가까워지긴 하지만 달이 크게 보이는 데에는 대기의 상태나 주관적인 부분도 작용하기에 육안으로는 특별한 차이를 못 느낄 수 있다. 지구에서 달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 ...
장기유사체 활동, 고해상도로 실시간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변화를 빠르고 정밀하게 관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박용근
물리
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과 의료기기 업체 토모큐브 연구팀이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활용해 살아있는 소장 오가노이드를 실시간‧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는 이미징 기술을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