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각
잠시
짧은시간
뉴스
"
잠깐
"(으)로 총 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 차단 효과 없는 장난감 선글라스는 NO!
동아사이언스
l
2016.07.14
아이들이 선글라스를 쉽게 벗으려고 하지 않겠지만, 실내에서는 사진 찍을 때만
잠깐
허락해주세요. 눈 건강은 어릴 때부터 지키는 것이 중요!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자외선에 오래 노출된 피부가 벌겋게 달아올라 약한 화상을 입는 것처럼 눈동자도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7~8월에는 햇빛이 ... ...
이거 진짜 히트다잉! 여름 보양채소 가지, 넌 누구냐
동아사이언스
l
2016.07.13
야무진 빛깔은 또 어떻고! 여름이 제철인 가지는 바로 지금이 섭취 황금기다. [여기서
잠깐
!] 어떤 가지가 좋은 건가요? - 짙은 보랏빛이 선명하면서 굵기가 고른 것 - 껍질에 광택이 나고 통통하게 살이 오른 것 - 꼭지 부분은 싱싱하고 마르지 않은 것 - 지나치게 비대한 것은 씨가 많고, 쭈글쭈글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메치니코프가 옷을 갈아입기 위해 숙소로 돌아가려고 하려는데 저 멀리서 파스퇴르가
잠깐
있으라는 신호를 보내고 사라졌다. 잠시 뒤 다시 나타난 파스퇴르는 연미복을 보통 양복으로 갈아입은 상태였다. 아마도 파스퇴르가 메치니코프에게 파격적인 대우를 한 배경에는 독일 학계에 대한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보여주는 실험이다. 그럼에도 멘델의 위상이 흔들리는 때라서 그런지 반가운 마음에
잠깐
소개한다. 동물의 경우 먹이가 풍족할 때는 안정적인 환경을 선호하고 부족할 때는 변이가 큰 환경을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이 있는데 이를 ‘위험감수성이론’이라고 부른다. 즉 부족한 게 없을 때는 위험 ... ...
[WWDC16 ⑤] 애플이 웨어러블과 인공지능에 대응하는 방법
2016.06.24
중 하나의 큰 덩어리가 풀린 셈입니다. 최호섭 제공 봇 이야기가 나왔으니 메시지도
잠깐
돌아볼까요. 몇 차례 이야기했던 것처럼 애플은 이 메시지를 플랫폼으로 만들었습니다. 메시지 안에서 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른 기업들이 내놓았던 것처럼 인공지능 봇이 들어가진 않았습니다. ... ...
장마철 건강 관리 궁금증 4가지
2016.06.24
위해서는 무엇보다 습기를 제거하는 게 중요합니다. 레인부츠는 통풍이 안되므로
잠깐
비를 피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장시간 착용은 피하도록 합니다. 레인부츠를 신을 때는 맨발로 신지 말고 꼭 면 양말을 신은 뒤 착용하고요. 실내에서는 편한 신발로 갈아신는 게 좋겠죠. 레인부츠를 벗은 뒤에는 ... ...
“I see U” 눈으로 소통하는 ○○○○
2016.06.18
사진들에 따른 갈까마귀들의 행동을 촬영했습니다. 바이올로지 레터스 제공 여기서
잠깐
덧붙이자면, 갈까마귀는 나무의 구멍에 둥지를 트는 새입니다. 이는 까마귀과에서 유일하게 나타나는 모습인데, 그렇다고 딱따구리처럼 스스로 구멍을 팔수는 없어 갈까마귀는 자연적으로 생긴 나무 ... ...
뒤뚱뒤뚱 두꺼비, 사실은 평형감각의 달인?
2016.06.14
균형을 맞추는 것을 여러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Sam Fraser-Smith(F) 제공
잠깐
화제를 돌려 수수두꺼비에 대해 알아볼까요? 먼저 수수두꺼비라는 이름은 1930년대 호주에서 사탕수수(sugar cane)밭의 해충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데서 붙여진 것입니다. 이 두꺼비는 세상에서 가장 큰 ... ...
[책의 향기]‘극혐’ 기생충? 알고보면 매력적인 지구 생명체
동아일보
l
2016.05.28
개발했겠지만, 서글픈 현실은 사람의 목숨에 값을 매긴다. 저자는 제약회사가 아플 때
잠깐
먹는 약보다 고혈압이나 콜레스테롤 저하제처럼 평생 동안 먹는 약을 선호한다고 꼬집는다. 온갖 먹거리가 국경을 넘나들고 지구 곳곳을 여행하는 이가 늘어나는 요즘, 기생충은 남의 나라 이야기만은 ... ...
기생충에 감염되어야 살아 남을 수 있는 동물이 있다?
2016.05.28
산성화된 바닷물에서 생존할 확률이 훨씬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여기서
잠깐
! 바닷물은 왜 산성화 되는 것일까요? 그건 바로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손 꼽히는 이산화탄소 때문입니다. 인류의 산업혁명 이후 이루어진 급속한 경제 발전이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증가시켰고, 그렇게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