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제어"(으)로 총 2,5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게시판] 원자력硏, '원자력 바로알기의 날' 프로그램 운영 外동아사이언스 l2024.01.04
- 지능형 로봇산업을 키우기 위해 '사람과 공존·협업을 위한 로봇지능 센서 솔루션 및 제어기술', '제조, 물류, 의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의 적용을 위한 로봇 성능 및 신뢰성 향상 연구', '대기업 위주 AI 신기술을 중소기업으로 기술이전 및 기술경쟁력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
- 무게 대비 34배 강한 힘 내는 '인공근육'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1.04
- 연구를 이끈 오 교수는 "초저전력으로 작동하는 전기화학적 연성 유체 스위치는 유체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 로봇,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미세유체공학 분야에서 많은 가능성을 열어준다"며 "스마트 섬유에서 생체 의료 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 ...
- [인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23.12.29
- 김영곤 △에너지나노그룹장 김영원 △에너지시스템그룹장 이정민 △극한공정제어그룹장 이상직 △모빌리티부품그룹장 조용재 △모빌리티시스템그룹장 이수웅 △기능성소재부품그룹장 정영규 △저탄소에너지그룹장 김수한 △스마트정형공정그룹장 지창욱 △특수목적로봇그룹장 김원균 ... ...
- 4000억 투자하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실질적 경제성 챙겨야"동아사이언스 l2023.12.29
- 냉각수 유출 사고의 주원인이 됐던 제어 장치를 원자로 안으로 집어넣는 '내장형 제어봉구동장치' 등의 기술이 추가된다. 추가 건설비를 줄이는 것도 i-SMR의 목표 중 하나다. i-SMR은 원자로가 보조설비를 공유하도록 설계돼 원자로 여러 기를 짓더라도 설비를 추가할 필요없다. 강한옥 원자력연 ... ...
- [과기원NOW] 노준석 교수·김민규 박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광범위한 영향력을 입증한 연구자를 HCR로 선정한다. 노 교수는 빛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메타 물질 분야 전문가다. 2018년과 2021년 각각 세계 최초로 3차원 메타 물질의 대량 합성과 프린팅 기술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김 박사는 국내외 대학·연구기관·산업체와 포항 방사광 ... ...
- 원자력 '게임체인저' i-SMR 안전 규제·본격 육성 추진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지난 18일 SMR(소형모듈원자로) 안전 규제 방향 선포식에서 안전 규제 방향에 대해 설명하는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 연합뉴스 제공 원자력안전 ...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완전피동형 안전계통', 붕산을 사용하지 않는 '무붕산 노심 제어' 등 세부 기술분야별 규제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 ...
- '계통연결' 성공한 신한울 2호기, 내년 상반기 상업운전 앞둬동아사이언스 l2023.12.27
- 신한울 2호기의 운영 허가를 냈다. 이후 4개월 간 시운전 검사를 통해 제어봉 성능 등 안전 기능을 종합적으로 확인했다. 지난 6일 원자로 내에서 핵분열 연쇄반응이 일정한 비율로 계속되는 상태인 '원자로 임계'에 최초로 도달한 신한울 2호기는 21일 18시경 시운전 과정에서 생산한 전력을 최초로 ... ...
- 일반인도 '로봇'에게 고난이도 작업 지시 가능해진다동아사이언스 l2023.12.27
- 로봇을 이용한 샌딩 작업 중 경유점을 지정하는 연구팀. ETRI 제공 전문가의 프로그래밍 없이 일반 사용자가 직접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을 만들 수 ... 연구를 진행중이며 향후 양팔 로봇, 4족보행 로봇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에 대한 티칭 및 제어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
- 저산소 환경에서 '암세포 사멸' 유도하는 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3.12.27
-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암과 같은 저산소 적응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분자 표적을 찾은 것”이라며 “향후 SETDB1을 억제하는 혁신 신약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 최신호에 게재됐다. SETDB1 저해 ... ...
- 상처에 생기는 딱지 제어한다…"치유 약·암세포 증식 연구에 기여"동아사이언스 l2023.12.21
- 수 있다. 엘라스틴의 양은 암세포 증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암의 성장 제어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세화 표준연 바이오이미징팀장은 “이번 성과는 표준연 첨단 바이오 측정기술 융합의 결실”이라며 “향후 피부 세포가 아닌 장기 세포 등을 활용해 다양한 섬유화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