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뉴스
"
척추
"(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깃털과 새로운 양서류
팝뉴스
l
2017.01.02
붙어 있어서 특이하다고 브리스틀 대학교의 마이크 벤튼 교수가 설명했다. 깃털은
척추
골 8개에 붙어 있었다. 아래는 영원이다. 도롱뇽의 친척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세계야생동물기금은 지난 12월 그레이터 메콩 발견했다고 보고했는데, 새로운 종인 것으로 알려졌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뜨는 신혼여행지 ‘레위니옹’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생물학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진은 지구온난화가
척추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놀라운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놨다. 현재 인류의 습관이 계속된다면 2040년에서 2100년 사이 지구의 에코 시스템이 무너지고, 인류 일부가 멸종할 수 있다는 것이다. 4인의 ... ...
공룡진화 비밀 풀릴까… 9900만 년 전 공룡 꼬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꼬리에서는 갈색과 흰색이 섞인 길이 3.7㎝의 깃털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깃털의 길이와
척추
의 모양 등을 바탕으로 이 꼬리의 주인이 ‘코엘루로사우루스(Coelurosaurus)’의 새끼일 것으로 추정했다. 코엘루로사우루스는 새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공룡으로, 육식성 두 발 공룡인 수각아목과에 ... ...
[카드뉴스] 철새에 대한 궁금증 5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10
볼 수 없는 자외선을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먹잇감을 쉽게 찾을 수 있죠. 게다가 새는
척추
동물 가운데 가장 시력이 좋다고 합니다. 머리 크기에 비해 유독 안구가 크기 때문이죠. 안구가 크면 망막에 맺히는 시각정보도 크기 때문에 세세한 부분까지 볼 수 있습니다. Q4. 잠은 언제 자나요? 아직 ... ...
‘꿀잠’을 파는 가게? 건강에 도움되는 ‘수면테크’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목 부분이 볼록하게 올라온 경추형 베개, 옆으로 누워 자는 경우에는 체압을 분산시켜
척추
에 무리를 주지 않는 바디형 베개 등 최근에는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만든 다양한 베개들이 인기다. 수면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베개를 선택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 ...
‘상체는 기린, 하체는 코끼리?’ 하체비만 탈출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6.12.01
경우가 많은데 그러한 자세 역시 하체비만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다리를 꼬는 자세는
척추
와 골반이 비틀어져 하체쪽의 혈액순환을 방해함과 동시에 적은 활동량으로 대사율이 떨어지면서 지방이 더 많이 축적되는 결과를 초래하니 지금 앉아 있는 자세를 확인해봄이 어떤지? GIB 제공 ● ... ...
진짜 매머드가 나타났다?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30
기자 제공 ● 매머드, 시베리아에서 우리나라로! 천연기념물센터에 도착하자 우리나라
척추
고생물학의 대가인 임종덕 박사님이 반갑게 맞아 주셨어요. “매머드는 다섯 종류가 있답니다. 그중 오늘 여러분이 만나 볼 매머드는 ‘털매머드’에 속해요. 약 45만 년 전부터 1만 1000년 전까지 살았던 ... ...
“130년 만에 시조새 무너뜨린 깃털공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29
제공 20년 전 세계 최초로 깃털공룡 화석을 연구한 쉬 싱(Xu Xing) 중국과학원
척추
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 선임연구원(47)이 깃털공룡을 마주한 순간을 회상한 말이다. 그는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만 34편의 논문을 낸 깃털공룡 화석 분야에서 석학으로 손꼽힌다. 지난 22일 쉬 싱 박사를 ... ...
마법사 부럽지 않다… 과학자들의 신비한 실험동물
동아사이언스
l
2016.11.28
아프리카가 고향인 ‘더콰이즈 킬리피시’는 수명이 2~6개월 정도로 아주 짧다. 다른
척추
실험동물인 제브라피시(9~10개월), 생쥐(2~3년)은 수명이 길어 노화를 연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반면 킬리피시는 짧은 기간에도 피부색 변화와 꼬리지느러미 손실 등 노화의 특징을 연구할 수 있다. ... ...
설치류를 사냥한 거미 ‘포착’
2016.11.02
포착했다. 이 무시무시한 거미의 종은 ‘헌츠맨’이다. 헌츠맨 거미는 원래 벌레나 무
척추
동물을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페이스북에 올라온 영상 속 거미는 아주 특별한 존재로 보인다. 충격적을 왕성한 식욕과 힘을 자랑한다. 해외 언론과 네티즌들의 반응은 ‘공포와 충격’을 요약된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