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수 있다. 같은 무게의 물질이라도 표면적이 훨씬 넓고 세공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가능
한 일이다.장종산 박사는 “다양한 금속 이온과 리간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수만 종류의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조립 완구 레고와 같다”고 설명했다. 블루케미스트리가 최소한의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공기 중으로 유출된 플루오린화 수소가 주민이나 가축에게 더 이상의 피해를 줄
가능
성도 없다.[경북 구미시 산동면의 플루오린화 수소 피해지역 내 포도밭 포도 잎이 누렇게 변해 말라 죽었다. 한번 식물 안으로 들어간 플루오린화 수소는 세포막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세포 안에서 칼슘을 ... ...
아무리 추워도 얼지 않는다! 결빙방지단백질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상황에서 극지연구소 김학준 박사팀은 결빙방지단백질의 효능을 연구하고 대량생산
가능
성을 열었어요. 연구팀이 이용한 것은 북극 효모(Leucosporidium sp.)예요. 북극 효모 역시 영하의 얼음 호수에서 살아남기 위해 약 4.2×10-20g의 결빙방지단백질(LeIBP)을 분비하거든요.연구팀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
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이에 비해 오래 전부터 화석 연료의 대안으로 생각해 왔던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여전히
가능
성만을 열어둔 상태다. 전력 생산만 놓고 봐도 전체의 2.9%에 불과하다. 지식경제부가 6월에 신재생에너지 부문 R&D에 총 3737억 원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발표했지만 화석연료를 대신하기에는 아직도 갈 길이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지금까지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투표 장소가 무의식중에 우리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을
가능
성을 보인 연구다.선택의 순간이 온다이제 선택의 순간이 돌아왔다. 아직 투표권이 없는 사람도 앞으로를 위해 대통령 후보의 면면을 잘 살펴보자. 우리나라를 어떤 방향으로 이끌겠다고 하는지, 복지를 ... ...
파킨슨병 치료 실마리 풀릴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지나치게 느렸다. 쇼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아밀로이드를 분해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
성을 제시했다는 의미를 갖는다”며 “앞으로 Hsp104를 파킨슨 병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앞으로의 일을 예측하는 것은 오늘날의 컴퓨터 기술로도 불
가능
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타임 몽크스의 웹봇은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정보를 모으는 ‘웹크롤링’ 기술과 모은 무작위의 정보를 유의미한 정보로 가공하는 ‘데이터 마이닝’ 기술이 합쳐진 프로그램이다.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유통시키지만 않는다면 앞으로 잡힐 일은 거의 없다는 뜻이다. 완전범죄 성사의
가능
성이 커진 것도 이 때문이다.다행히 새 지폐를 본뜬 위조지폐에서는 ‘77246’의 일련번호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77246 위폐를 만든 범인은 이제 위조지폐를 만드는 일에서 손을 완전히 뗀 것일까. 또 ‘77246’이란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회절 무늬를 분석해 구조를 유추하는 방법으로, 움직이지 않는 고체 시료만 관찰이
가능
하다. 3D로 본 단백질의 구조는 모두 X선 결정학으로 알아낸 것이다.X선 결정학은 1895년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처음 발견한 이후 생물학 발전에 꾸준히 기여해왔다.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제임스 왓슨, ... ...
영상 신호 스스로 분리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3D 노트북과 TV도 곧 흔하게 접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무안경 3D 영상은 어떤 원리로
가능
할까. 사람 눈이 2개라서… 만일 사람의 눈이 1개였다면 어땠을까. 한쪽 눈을 감고 주위를 둘러보자. 볼 수 있는 사물의 양도 줄어들고 사물의 원근감과 입체감 등을 인식하는 능력이 확연히 떨어진다. 눈이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