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d라이브러리
"
변화
"(으)로 총 7,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레이저 광선을 나노 다이빙대에 쏘면 진동 주파수
변화
에 따라 반사되는 레이저의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를 측정해 다이빙대 위에 어떤 물체가 얹혀졌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코넬대 연구팀은 이 장치로 박테리아인 대장균의 무게가 6백65펨토그램(fg)임을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최근 ‘아침형 인간’ 신드롬으로 새벽부터 부산한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변화
에 적응하지 못해 고생하는 사람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낮에는 졸다가도 해만 떨어지면 눈이 말똥말똥해지는 소위 ‘올빼미족’ 이었던 사람들이 그들이다. 성격이 소심한 아가씨가 하루아침에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분야에서 이런 새바람이 불고 있다는 점이다.상상이 현실로 미래 건축이 가져올 많은
변화
가운데 주목되는 부분은 환경에 대한 인식 전환과 함께 도입될 새로운 에너지기술이다. 건축의 미래와 관련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태양건축과 녹색건축, 생태건축, 지속가능건축은 ‘지속가능한 발전’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고래가 얼마나 살고 있는지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개체수
변화
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산상 근거들이 실제 생태환경과 얼마나 맞아 떨어지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IWC가 1986년 전세계 국가들에 상업적 포경을 잠정 중단하도록 요구한 것도 그러한 불확실성 때문이었다.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유체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일까? 방법은 물방울의 한쪽 부분에만 표면장력에
변화
를 주는 것이다. 미세관 속 물방울의 양단에 전기가 따로 걸리도록 구조를 만든다. 그리고 물방울의 한쪽 끝에만 전기를 걸어준다. 그렇게 되면 한쪽 끝에만 일렉트로웨팅 현상이 일어나 물방울의 모양이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근처의 모터가 작동하면서 움직인다. 인체의 움직임은 근육의 전기신호와 관절의 각도
변화
를 센서가 감지함으로써 파악된다. 실험결과 17kg의 HAL을 장착한 사람이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시속 4km로 걸을 수 있었다. 참고로 이 속도는 보병의 평균 행군속도다.쓰쿠바대의 로봇다리는 올해 시판에 나설 ... ...
미래 문화 이끌 제품 기획하는 곳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아니라 로봇처럼 움직이는 것이 많아질 전망이다.이런 제품의
변화
는 곧 디자인에서도
변화
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을 디자인할 때는 이전 제품의 디자인과 달리 이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런 까닭에 이 교수는 디자인을 하는데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이다.새로운 디자인법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말인 약 2억6천만년 전 적도. 곤드와나대륙의 북쪽 가장자리에서 조용하지만 큰
변화
가 일기 시작했다. 땅속 수백km의 깊은 맨틀로부터 거대한 열기둥이 대륙지각으로 올라온 것이다. 대륙 여기저기가 조각으로 갈라지고, 그 갈라진 대륙의 틈사이로 깊은 계곡이 형성되고 바닷물이 들어온다.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그런데 과거 서해 해수면의
변화
양상을 보면 갑자기 연 45-80mm 정도로 급격하게
변화
하기도 했다. 최악의 경우 1백년 후에는 현재 해안선에서 무려 4-8km 까지 후퇴할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해수면 상승에 철저히 대비해야 서해 갯벌이 보존될 수 있는 것이다.걸어서 서해 건너온 우리 조상 우리 ... ...
사람눈 모방한 액체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기름이 가운데로 몰려 곡률이 뒤바뀐다(그림3). 물방울이 수정체의 역할을, 전기장의
변화
가 근육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연구팀의 공학자 코엔 주세는 “전기장 세기를 조절해 0.01초만에 초점거리를 바꿀 수 있다”며 “게다가 초소형이므로 내시경 등 활용범위가 넓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