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Eco R1은 대장균 균주에서 분리되어 대장균의 학명인 Escherichiacoli(보통 E.coli라고 함)에서 유래된 이름. 이 효소에 의해서 DNA를 절단하면 한 편에는 -AATT- 라는 한가닥 사슬이, 다른 편에는 -TTAA-라는 한 가닥 사슬이 남는다.절단된 DNA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풀'이 필요하다. .. ...
- 1. 유전자 이상이나 염색체 숫자·순서 바뀔 때 나타나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유전자에 대립되는 정상 유전자를 야생형(wild type) 유전자라고 부른다. 야생형이란 보통 자연상태에서 흔히 존재하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한 유전적 다형성의 경우는 한 유전자에 두가지 이상의 야생형이 존재하는 셈이다.돌연변이가 '비정상적인 유전자'라는 말은 반드시 해롭다거나, ...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수확할 수 있다.쌀농사에서도 EM농법을 계속 채택하면 1단보당 7백-8백kg을 생산하는 것은 보통이다. 1단보당 2백kg 정도밖에 수확하지 못하는 일본 북부지방 야마가타(山形)현 냉해지에서도 5백-6백kg을 생산하고 있다.지난 92년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의 위탁 재배 시험결과에서도 관행(慣行) ...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과학동아 l1994년 03호
- 파동의 진행방향이 수평인 파동이다.횡파의 대표적 예로는 물결파가 될 것이고 보통 우리가 파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대부분 횡파다. 또 다른 횡파로서는 지진파의 S파, 전자기파 등을 들 수 있다. 음파는 종파의 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또 다른 종파로서는 지진파의 P파가 있다.우리는 매일 매일 ...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낮다. 머리카락이 굵고 흰머리가 잘 나며 눈이 크고 쌍꺼풀이 있다. 귓불도 큰 것이 보통이다. 출신지로 보면 한반도의 서부, 남부 해안지역 출신자에게 많다.한편 얼굴이 둥글고 눈 코 입이 작은 동안형은 귀모양도 동그라며 작다. 눈썹이 흐리고 미간이 넓으며 수염이 많이 나지 않는다. 대개 모발도 ...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자신의 자손이 보다 유리하게 살아남게 할 전략을 유전자에 싣고 있는데, 그 전략이 바로 보통 생물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일어나는 돌연변이이기 때문이다. 그 속도는 세포구조를 가진 미생물보다 1백만배나 빠르다. 그렇다면 바이러스는 어떤 진화적인 시간을 거쳐 어떻게 병원성을 가진 ...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과학동아 l1994년 02호
- 그러기 위해서는 완전한 진공공간에 반입자를 잡아두어야 하는데 이 일이 만만치 않다.보통 이온덫(ion trap)이라 불리는 장치를 만들어 반입자를 잡아두거나 초전도체를 이용하는데, 아주 낮은 온도(액체헬륨온도, 4K)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조건이다. 반입자의 보존만 원활하게 된다면 ... ...
- 전력계통 통제에 반도체 디바이스 이용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보통 때는 별로 의식하지 않고 사용하는 전력이지만, 그 품질과 공급량을 적정하게 맞추기 위해 전기 사업자는 갖가지 기술을 구사하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관리제어를 한다. 그러나 많은 전력회사가 있어서 전력계통이 복잡하게 결합돼 있는 미국에서는 전력계통의 불안정성이나 정전 사고가 ...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때 방출되는 열에 의한 효과다. 물과 에탄올의 혼합시에 부피변화는 확연하다.5mL+10mL=14.6mL보통 물과 물을 섞었다면 부피가 15mL가 돼야 하겠지만 에탄올을 물과 섞으면 부피가 감소한다. 그리고 가장 큰 감소는 알코올의 농도가 18%일 때에 일어난다. 이러한 부피 감소는 단순히 수소결합으로 설명하기 ... ...
- 물리- 대기압 이용한 요술 여섯가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안에 거꾸로 백원짜리 동전이 들어 있다. 손에 물을 적시지 않고 동전을 꺼낼 수 있을까? 보통의 병 안에서 솜을 태운 후 바로 물이 담긴 접시 안에 거꾸로 세우거나 플라스크에 물을 넣고 가열한 후 물을 제거한 플라스크를 접시 안에 거꾸로 세우면 물이 서서히 병이나 플라스크 안으로 빨려 ... ...
이전4664674684694704714724734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