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포항공대 3가지 자랑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성질이 다르다. 전자를
빛
의 속도로 가속해 진로를 바꾸면 매우 강력한
빛
이 나온다. 이
빛
이 바로 방사광이다. 방사광은 X선보다 훨씬 강력해 물질의 내부를 들여다보거나 반응시켜 다양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일반 가속기가 물질의 궁극적인 구성성분인 소립자 연구에 쓰이는데 반해 ... ...
노벨화학상/스몰리, 크로토, 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플러렌 가족이다.플러렌은 참으로 우연한 계기에 발견됐다. 우주에서 오는 짧은 파장의
빛
의 원천을 연구하던 크로토교수는 자신이 예상하는 탄소화합물을 스몰리교수 실험실에서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해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그들은 우주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진공장치 속에서 강력한 ... ...
단풍에도 계급이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온도차가 많이 나야 한다. 물론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서는 안된다. 같은 사과나무에서도
빛
이 잘 드는 쪽의 사과가 먼저 불그스레 해지는 것만 봐도 안토시아닌이 광합성에 의해 탄수화물이 많이 생긴 곳부터 생성되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처럼 안토시아닌은 햇볕의 영향을 많이 받기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그릇같은 세공성 벽을 통과하는 기체의 확산에도 성립한다 물질계에 의하여 흡수되는
빛
만이 광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법칙 1820년에 그로투스가 이론적으로 발표한 후 1845년에 영국의 J W 드레이퍼가 수소와 염소의 광화학반응을 연구하여 같은 결론을 내렸다 1904년 J H 반트호프에 의해 ... ...
피라미드는 거대한 수학공식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북위 29도58분51초. 이 오차는 어떻게 해석돼야 하는가. 한편으로 북극성에서 발하는
빛
이 공간에서 굴절되는 것을 고려해 일부러 약간 뒤에 만들었다는 추측이 제기됐다. 관찰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러 근소한 오차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새로운 기원설_오리온자리와 일치대피라미드가 설립된 ... ...
2. 모자형 재킷형 손목시계형 PC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발할 것이다. 조선조 풍속화의 대가 김홍도가 차세대 컴퓨터를 이용한다면 동물의 눈
빛
을 정리한 수백가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 살아 움틀거리는 듯한 개와 고양이를 등장시킨 새로운 유형의 미술작품을 만들 수 있게 될 지 모를 일이다.문제는 이러한 기술을 토대로한 차세대 컴퓨터의 ... ...
인과율을 조롱하는 영화적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과거로의 시간여행에 대한 일종의 ‘불가능 선고’ 이기도 하다.
빛
보다 빨리 진행하여 과거로 여행하기 위해서는 음(-)의 에너지를 가지고 허수의 세계에서 존재해야 한다(그러나 세상은 실제(real)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시간’ 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던 ... ...
심해유물 어떻게 찾나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사용한
빛
은 15m, 투과력이 좋다는 레이저
빛
도 40m 이상 나갈 수 없다. 그래서
빛
을 이용해 바닷속을 들여다보거나 통신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전파 역시 물속에서는 에너지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거의 투과되지 않는다.이와 달리 음파는 물속에서 감쇄현상이 적기 때문에 통신은 물론 지형과 유물 ... ...
천년 풍(風) 만년 빙(氷)의 나라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따라서 내부에 기포가 많고 불순물이 적어 햇살을 받으면 파란
빛
을 띤 보석 처럼
빛
났다. 우선 얼음을 채우고 위스키를 따랏다. 단군시대 아니 그보다 오래된 태고의 공기를 품은 얼음이 잔 속에서 톡톡거리며 튀었다. 아득한 옛날 포집됐던 공기가 우리 가슴 속을 파고 들었다. 태고와의 만남을 ... ...
1. '화성 생명체' 둘러싼 5가지 쟁점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대체적인 반응.외계생명체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드레이크방정식에 따르면, 스스로
빛
을 내는 항성에서 적당한 거리에 놓여 있어 적절한 에너지를 받는 행성(예를 들면 지구)이 존재한다고 할 때 이 행성에서 생명체가 발생할 확률은 1-100%까지 매우 폭이 넓다. 여기서 100%의 의미는 적당한 거리만 ... ...
이전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