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갯짓이 판단에 영향 미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웃음이 기분을 좋게 해주는 것처럼 끄떡이는 고갯짓이 긍정적인 사고를 갖도록 해
줄
것으로 믿어왔다. 하지만 콜럼버스 오하이오 주립대의 리차드 페티 박사와 스페인 마드리드 오토노모드대의 파블리오 브리뇰 박사는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다”고 말한다. 최근 그들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향해 양방향에서 쏜다. 그러면 원자들이 두 레이저 빛과의 계속되는 충돌로 인해 속도가
줄
어든다. 그 결과 원자들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이다. 이를 x, y, z축의 3차원 공간에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세쌍의 레이저를 이용하면 공간적으로 완벽히 한 지점에 원자를 멈추게 할 수 있다.이 같은 레이저 ... ...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 뼈들에는 불에 데거나 구워진 흔적이 거의 없었다. 네안데르탈인은 불을 사용할
줄
알았는데도 말이다. 연구팀은 그들이 사람이나 사슴 고기를 날것으로 먹었으리라고 추측했다.그러나 화이트 박사는 “모든 네안데르탈인이 식인종이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그들 중에 식인종이 ... ...
${10}^{-15}$m 펨토세계에서 새로운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미국 제퍼슨 연구소의 실험은 중수소 핵을 사용해 다른 핵자에 의한 방해 현상을
줄
여 실험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했다. 이같은 실험은 펜타쿼크 중입자의 존재에 강한 확신을 준다.하지만 아직 그 구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즉 이 입자가 단단히 구속된, 다시 말해 하나의 주머니에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구조물을 설계하는데 가장 먼저 고려하는 사항”이라며“멋을 부리려면 이를 받쳐
줄
수 있는 복잡한 기술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미적 감각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현재 선진국의 예를 보더라도 이 분야에서 여성의 진출은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몇 시간이고 수술이 가능하다면 장기이식 수술을 할 때 시간에 쫓겨 실패하는 일이
줄
어들 것이다. 또한 인공동면을 하면 수십 년을 우주선 안에서 견뎌야 하는 우주여행도 가능할 것 같다. 전문가들은 2030년 쯤이면 겨울잠을 자면서 우주여행을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인체 냉동보존을 꿈꾼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경험할 수 있는 경우는 바이킹이나 자이로드롭이 떨어질 때이다. 고층에서 엘리베이터
줄
이 끊어져서 떨어질 때에도 경험할 수 있다(물론 이런 경험은 하고 싶지 않겠지만). 무중력 상태란 정확하게 말하면 중력이 없는 상태가 아니다. 중력에 대해 떠받치는 힘이 없어 중력을 느낄 수 없는 상태를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2021년 겨울, 오랜 연구 끝에 드디어 실용적인 양자컴퓨터가 만들어졌다. 2001년 말 최초의 양자컴퓨터가 만들어진 후 꼭 20년만의 일이다. 처음 만들어진 양자컴퓨터는 15가 3 곱 ... 시대가 도래했듯이, 양자계산이나 양자정보이론은 다시 한번 우리의 생활을 크게 바꿔
줄
것으로 기대된다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위에 배열한 벨트 프린터 또는 체인 프린터가 대표적인 것이다라인 프린터는 한 번에 한
줄
을 병렬로 인쇄하기 때문에 인쇄 속도가 빨라 출력량이 많은 소형 컴퓨터나 대형 컴퓨터의 출력장치로 이용된다1872~1935 미국의 영양학자 · 생화학자 뉴욕주 델하이 태생 예일 대학에서 공부하고 독일의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달리 앞으로 혁신이 일어나는데 장애가 되는 한계를 이들 기술의 융합이 극복하게 해
줄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융합기술은 1990년대 후반 들어 본격화된 학제간 연구개발에 바탕을 둔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학제간 연구나 교육이 이미 보편화된 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분위기가 무르익지 ... ...
이전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