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57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자, 미래에너지 핵융합 운전방식 주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플라즈마 운전방식으로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추가 연구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한 책임
연구원
은 “플라즈마 밀도를 높여 성능을 높이는 연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 교수는 “한국의 핵융합 연구가 기존과 다른 독창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의의를 밝혔다. ... ...
[과학게시판] UST, 배터리·바이오센서·우주기술 등 전문가 57명 신임교원 임용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7
책임을 충실히 수행해 국가·사회적 현안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국기계
연구원
(KIMM)은 9월 21일 서울 국회박물관에서 '2022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을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해를 거듭하며 지속되는 이상고온과 자연재해 등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이 커지는 가운데 올해 포럼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
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 ...
몸길이 6㎝에 태양전지까지 단 '사이보그 바퀴벌레'
연합뉴스
l
2022.09.06
열어줄 것으로 제시됐다.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에 따르면 '개척연구본부'(CPR) 선임
연구원
후쿠다 겐지로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마다가스카르 바퀴벌레 몸에 태양전지 필름과 무선 조정장치를 달아 원격 통제하는 시스템을 개발한 결과를 과학 저널 'npj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npj Flexible ... ...
[과학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추석 달 관련 행사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우수작 이외에 인기작 10편에는 모바일 상품권 등의 혜택이 지급된다. ■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은 북한 인프라 개방에 대비해 다양한 북한 건설 관련 자료를 수집한 북한인프라자료관을 운영 중이라고 5일 밝혔다. 건설연은 북한의 경제 개방 시 건설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는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조선시대부터 250년간 강수량 측정지수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이 기술이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 논문의 주저자인 양재원·이동일
연구원
은 "지상-위성 간 광-시간 동기화에 관한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우주의 다양한 측정 응용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에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7) 컨테이너에서 지내며 발사대 개발한 현대중공업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기립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우주로 쏘아 올린 발사대 개발 주역 현대중공업이 우주 발사체 발사대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새롭게 구축될 고체연료 발사대는 물론 적도 부근에서 ... ...
페트병의 다이아몬드 변신…얼음세계 '다이아몬드 비' 더 일반적
연합뉴스
l
2022.09.05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헬름홀츠-젠트룸 드레스덴-로젠도르프연구소(HZDR)의
연구원
이기도 한 크라우스 교수는 "산소는 탄소와 수소 원자를 분리하고 수소를 빨아들임으로써 남겨진 탄소 원자의 결합을 쉽게 해 다이아몬드 형성을 촉진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해왕성이나 천왕성의 ... ...
나노 크기 초미세 고성능 반도체 소자 합성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9.05
적당한 금속 전극 물질 후보를 찾았다. 논문의 주저자인 송승욱 UNIST 신소재공학과 박사후
연구원
은 "일반적인 2차원 금속은 고온에서 불안정해 다양한 소자를 만들기 어렵지만, 2차원 텔루륨화 백금 화합물(PtTe2)은 섭씨 825도의 고온에도 안정적이라 2차원 반도체가 합성되는 고온에서도 공정이 ... ...
올해 한가위 보름달 10일 오후 7시 4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5
7시 2분 등 전국에서 오후 7시 전후 사이 보름달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천문
연구원
은 5일 ‘2022년 추석 보름달 관련 천문정보’를 발표했다. 보름달은 음력 보름날 밤에 뜨는 둥근달을 말한다. 음력 1일은 달이 태양과 같은 방향을 지나가는(합삭) 시각이 포함된 날이며 이날부터 24시간 ... ...
이전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