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령들의 병정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
별이 모여 있는 것을‘성단’이라고 합니다. 이런 성단 중에서 별이 촘촘하고 둥글게 모인 것을 구상성단, 허술하게 모여 있는 것을 산개성단이라고 ... 뚜렷하게 보입니다. 우리말로‘좀생이’ 라고 하는데, 캄캄한 시골 밤하늘, 저녁 9시쯤
바로
머리 위를 보면 쉽게 발견 할 수 있습니다 ... ...
난 미끄러지지 않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2
눈길을 운전해야 하는 엄마, 아빠는 자연히 눈살을 찌푸린답니다. 그래서 발명한 것이
바로
겨울용 타이어! 눈 덮인 도로를 자동차가 달리면 도로 표면에는 눈이 녹으면서 얇은 물막이 생겨요. 그 때문에 자동차가 제멋대로 미끄러지는 것이죠. 이런 현상을 수막현상이라고 해요. 겨울용 타이어는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02
별과 연결되어 날개를 포개고 하강하는 새의 모양이다독수리자리의 1등성 알타이르의
바로
동쪽에 있는 별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0h 10m~21h 05m, 적위 +2°~+21°에 연한다3개의 4등성과 1개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02
교수의 2004년 논문에는 줄기세포가 처녀생식이 아님을 입증하는 실험 결과가 나와 있다.
바로
‘각인’ 현상을 조사한 것.보통 수정란은 부모에게서 염색체를 하나씩 물려받는다. 같은 기능을 하는 유전자가 부모에게 받은 염색체에서 모두 발현되면 유전적으로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어느 한쪽만 ... ...
스승과 제자, 카시니와 뢰머
과학동아
l
200602
토성의 고리를 관측해 1675년 A고리와 B고리 사이에 틈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 틈이
바로
토성에 대한 업적의 정점으로 오늘날까지 그의 이름을 빛나게 하는 ‘카시니 간극’이다. 이 간극은 소형망원경에서도 쉽게 보여 지금도 아마추어들 관측가들에게 사랑 받고 있다. 현재 카시니라는 이름은 달의 ... ...
모차르트 효과 정말 있나
과학동아
l
200602
밝히지 못했다고 발표했다.모차르트의 사망 원인을 더 알아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바로
DNA 분석을 실시한 두개골 자체의 신뢰성이다. 모차르트의 시신은 직접 매장한 묘지 관리인인 요제프 로트마이어가 장례 뒤 10년이 지난 후에 직접 도굴했다고 한다. 이후 여러 경로를 거쳐 유골은 1902년 ... ...
특집2. 당나라 단맛의 새 역사를 쓰다
과학동아
l
200602
”(예전에는 치약을 짜고 뚜껑을 닫지 않으면 딱딱하게 굳었다. 그래서 넣은 게
바로
솔비톨. 솔비톨을 빵에 넣으면 촉촉함이 오래간다.)“그렇다면 사탕을 만들 때 끈적거리고 녹아내리지 않겠느냐? 다음 후보 들라.”(말티톨이나 이소파라피니톨 같은 당알코올은 입안에 오래 남지 않는 산뜻한 ... ...
겨울스포츠
과학동아
l
200602
개 두께로 이들 물분자들은 서로 비교적 약하게 연결돼 있었다.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미끄러운 정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문에 경기 종목에 맞는 얼음 온도도 각각 다르다. 하키에서 최적의 얼음 표면온도는 영하 4℃, 속도 조절이 자유로워야 하는 피겨 스케이팅 ... ...
미리내에 거대한 용이 산다
과학동아
l
200602
살고 있었다. 영웅 헤라클레스가 자유를 얻기 위한 12가지 고역 가운데 11번째 임무가
바로
이 황금 사과를 따오는 일이었다. 헤라클레스는 라돈의 머리를 무참하게 베고서 임무를 완수했고 이 용은 하늘로 올라가 별자리가 됐다고 한다.그런데 황금 사과를 지키던 용 라돈의 머리는 하나가 아니라 ... ...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02
발현된 단백질’(PROTEinexpressed by a genOME)을 뜻한다. 단백질체를 연구하는 분야가
바로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설탕 가고 새 당 온다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특집2. 당나라 단맛의 새 역사를 쓰다 특집3. 사람 살리는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