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지 검증을 했어요. 이를 위해 영하 30°C부터 영상 70°C까지 이상 없이 작동하는지, 태풍에는 잘 견디는지를 실험했지요. 요즘에는 실시간으로 내용을 바꿀 수 있는 대형 도로표지판을 연구 중입니다." 독자기자의 취재 수첩신호등, 그 속에 담긴 열정전도윤(서울 강현중 1학년 ... ...
- 동북아시아를 강타한 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일어났어요. 4월 20일 오전에 발생한 강진으로 인해 21일 오후까지 확인한 사망자만 200명 이상. 150만 명이 넘는 이재민도 함께 발생했지요. 또 지진이 일어 난 뒤 1000회가 넘는 여진이 이어져 주민은 계속 불안에 떨고 있어요. 쓰촨성은 지난 2008년 리히터 규모 8.0인 강진으로 8만 6000여 명이 사망한 ... ...
- [과학뉴스] 무서운 신종 조류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북쪽에 위치한 수도 베이징까지 퍼진 상태예요. 지금까지 감염 판정을 받는 사람은 80명 이상, 사망자도 17명에 달한답니다.이번 바이러스는 우리나라에도 큰 피해를 끼친 H5N1과는 다른 신종인 H7N9형이라 기존 백신으로는 막기 어려워요. 게다가 조류가 아닌 사람에게만 치명적인 증상을 일으키고,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마셔도 아무 문제없답니다.깨끗한 물을 더욱 맛있게!하지만 전 수돗물을 마시기 싫어요. 이상한 냄새가 나는걸요.그 냄새는 수돗물 안에 있는 염소 때문이에요. 염소 확인 용액을 수돗물에 넣어 볼게요.우와, 물이 노랗게 변했어요.용액이 염소와 만나 반응했기 때문이에요. 염소(CI)는 생물의 ...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다행히 모두 안전하게 우주선 안으로 들어갔고, 그들을 힘들게 하던 무거운 공기도 더이상 느껴지지 않았다.“휴~, 살았다. 차원의 틈에서 우주선이 있는 곳으로 나오다니, 너무 운이 좋은 것 같지 않아?”“메비우스 공작이 힘을 쓴 걸까?”그때였다.“콰르릉!”밖을 내다보자 거대한 장벽이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대수적 도구를 도입하는 큰 업적을 내서 필즈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그 연구력을 60년 이상 유지하고 많은 분야를 송두리째 뒤집거나 창시했으며, 86세의 나이인 지금까지도 활발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이에 관해 질문을 받은 적이 있는 세르는이렇게 대답했다.“제가 하디의 주장에 완벽한 반례는 ... ...
- 큐브에서 움직이는 건물까지, 네덜란드 건축에는 OO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꼭짓점을 찍어 놓은 듯한 아슬아슬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건물의 안전에는 이상이 없도록 38개의 정육면체를 이어붙여 서로 지탱하게 했다.큐브하우스를 설계한 피에트 블롬은 육각기둥 위에 정육면체를 얹은 집의 형태가 나무의 기둥과 가지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서로를 ... ...
- 내일은 야구왕 피칭머신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연습 또 연습하면 돼! 그러면 류현진 선수를 뛰어넘는 야구선수가 될 거라고!뭔가 이상해…. 왠지 엄마가 공부를 열심히 하면 성공한다는 얘기랑 비슷한 것 같은데….1 야구 속 과학을 찾아라!야구는 과학이다~ 라는 말 들어 봤지? 일단 108개 매듭으로 꽁꽁 묶은 야구공이 가장 과학적이지.야구공이요?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DARPA) 은 ‘시냅스(SyNAPSE)’ 라는 이름의 연구 프로젝트를 세우고 2018년까지 매년 300억원 이상의 연구비를 투자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미래에는 새끼손가락 손톱 크기의 작은 신경모방칩으로 슈퍼컴퓨터에 못지않은 방대한 연산을 실시간으로 해낼 것이다. 신경의 회로 구성 원리와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탄생 이후 보어의 원자모형은 소명을 다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이제 더 이상 물리학자들은 원자핵의 주위를 도는 전자의 궤도를 생각하지 않는다. 정상상태에 있는 전자는 공간의 여기저기에 존재할 수 있으며, 양자역학은 특정 위치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만을 제공한다. 그래서 ... ...
이전4684694704714724734744754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