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60% 절약 가능한 이온램프 개발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처음에는 수은전구에 의한 발광체연구를 진행했으나 효율이 오르지 않았다. 그래서 수은
대신
유황을 사용, 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황에 극초단파를 부딪혀 충격을 주면 빛을 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빛은 태양광선을 닮은 백색광이었다.이 새로운 발광시스템을 사용하면 지금까지보다 60%나 ... ...
내부은하 공간 얇은 헬륨이온구름 발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수 있는 양은 아니지만 암흑물질 발견에 기여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한편 헬륨원자
대신
에 전자를 하나 잃어버린 헬륨이온이 발견되는 것은 초기 젊은 우주가 고온 고밀도였을 것임을 간접적으로 증명해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전자를 뺏길 만큼 거친 환경', 이것이 허블이 내린 초기우주 상태의 ... ...
금잔화, 살충제 발산 해충 격퇴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않는 새로운 교활한 놈에게 직면해야 했다.그래서 최근엔 모기를 완전히 박멸하는
대신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말라리아와 같은 병원균을 옮길 수 없는 모기를 개발하여 대항하려 하고 있다.가령 말라리아 병원체에 저항하는 유전자를 모기에서 찾아 이용하는 방법이나 말라리아 항원에 대해 항체를 ... ...
4. 남·녀 성결정의 열쇠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존재하에서 태아의 생식기관이 몇주 동안 커지고, 그 이후에는 미분화된 생식선이 정소
대신
자연스럽게 난소로 분화된다. 남성은 사춘기가 될 때까지 정자세포의 형성이 억제되는 반면 여성은 태아때부터 수백만개의 원초적인 소난포들을 갖게 된다. 이 원초적인 소난포들이 자라서 성숙한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응용 프로그램과 많이 닮아 있음을 느낄 수 있다.그간 많은 사용자들은 도스나 윈도스를
대신
할 만한 본격적인 운영체계를 찾아 많은 노력을 해왔다. 개발업체들 역시 제대로 된 제품을 만들 수만 있다면 엄청난 시장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나름대로 최선의 노력을 해왔다지만 현실의 벽은 너무 ... ...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이탈 유실돼 매번 재설치하고 있다. 잦은 유실로 지친 해운항만청은 부이식 항로 표지
대신
에 고정 구조물에 의한 등대의 설치를 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어도 해양관측 기지의 구조물에 등대를 설치하면 한국은 매년 이 주변 해역을 지나는 10만척이 넘는 선박들의 안전 운항과 조업을 지원해 ... ...
2. 21세기 충격 예견-발간 앞둔 '미래로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신문 잡지, 휴대폰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이 지갑이 모든 일을
대신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보다 더 큰 부피를 차지하는 거실의 텔레비전이나 사무실의 컴퓨터도 새로운 모습과 기능을 취할 것이라는 게 그의 전망이다.사무실 공간을 벗어나 레저를 즐기는 것에도 ... ...
곤충 연구하며 자연의 신비 캔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오늘날같이 훌륭한 장난감이 없었고 더욱이 농촌에서 자라다 보니 곤충이 장난감을
대신
해 주었다. 잠자리 꼬리에 실을 매어 그 잠자리가 나는대로 따라다녔다. 또 자작(自作)한 매미채로 매미를 잡아 가슴 등마루에 튀어난 융기에 바늘로 실을 꿰서 나무에 매 놓아 울게 했다. 늦여름에는 두꺼운 ... ...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시간에 컴퓨터에 입력하거나, 현재 주입력 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키보드를 효과적으로
대신
할 시스템이 등장한다면 지금까지 인류가 쌓아놓은 방대한 정보를 체계화하는데 획기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문자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면 대량의 문서나 서적을 컴퓨터에 저장할때 많은 인력과 시간, ... ...
컴퓨터 프랙탈 그림특강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컴퓨터 화면에 점을 찍기 시작하면 S의 모습이 점점 화면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때 W
대신
에 난수 함수인 rnd( )를 사용하여 ${W}_{1}$ ${W}_{2}$ ${W}_{3}$를 임의적으로 하나씩 택해도 같은 그림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난수되먹임 알고리즘(Random Iteration Algorithm)이라고 한다. 왜 이러한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