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간단히 해결된다. 아예 제품이 있는 위치로 로봇이 이동해 직접 집어내는 것이다. 이미 다
양
한 산업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로봇이 이제야 자판기로 그 영역을 확대한 셈이다. 지난해 초 키오스텍이라는 국내 자판기제조업체에서 무인점포자판기를 선보였다. 이 업체에 따르면 현재 설악산, ... ...
빛으로 설탕물 농도 측정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당도를 확인할 수 있다.실제로 몇년 전 유행했던 오렌지 광고에서 이 점을 보여주었다.
양
복을 말쑥하게 빼 입은 남자가 남미의 어느 오렌지 농장에서 망원경처럼 생긴 광학기를 들여다본 후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내밀며 “따봉”이라고 외쳐댔던 그 광고에서 말이다. 이때 남자가 들여다본 기기는 ... ...
연구의 주역 루시 테일야칸 박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공학자 모두가 중요하다는 생각이다.앞으로의 연구계획은?검출되는 에너지의
양
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과 이번 연구결과를 실제로 응용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할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다른 주요한 목표는 전세계의 과학기술자들이 이번 연구결과를 재현해보는을 돕는 것이다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1990년대부터는 막을 이용해 하수를 걸러서 오염물과 물을 분리하는 공정을 중심으로 다
양
한 실험과 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IPR에 의해 처리된 물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지속적으로 평가했는데, 어떤 위해성도 보고되지 않았다.가까운 나라 일본도 재이용기술이 발전했다. 물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것도 과학사진의 장애물이었다. 과학사진을 찍을 때는 소리 센서, 적외선 센서와 같은 다
양
한 센서가 자주 동원된다.예를 들어 물방울이 수면 위에 떨어지는 사진을 찍을 때는 소리 센서가 필요하다. 물이 떨어지는 작은 소리에 맞춰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센서가 이씨가 원하는 ... ...
화두가 있는 자연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수강생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내리기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한학기 동안 재밌고 다
양
한 프로그램을 동원해 자연의 본질을 이해시킨 것까지는 좋았는데, 어떻게 학생들을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는 것이다.우리나라에서 많은 강의는 평가방식의 편이성 때문에 정량적 문제풀이 위주로 ... ...
할머니 소원 3월의 설경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눈 결정이 성장하는데, 이때 습도와 기온과 같은 주위 환경에 따라 매우 다
양
한 모
양
의 눈 결정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6각형의 눈 결정 그림을 각 꼭지점이 접히도록 한 후 잘라내는 까닭이 바로 눈 결정이 6각형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이다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아프리카인은 똥이 술술 잘 나온다.한국인이 처음 서
양
인의 똥을 보고 놀랐듯이, 서
양
인도 아프리카인의 큰 똥에 놀랐다. 영국 의사 데니스 버킷이 바로 그 인물이다. 그는 큰 똥을 누는 아프리카인은 이상하게도 서구형 성인병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1971년 ‘식이섬유 가설’을 내놨다.그 뒤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주민들간에 심각한 갈등을 겪을 것이다.지속가능한 하천을 실현하기 위해 진행되는 다
양
한 연구를 통해 하천에 항상 맑고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면, 물부족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건전하고 활발한 하천문화의 정착도 기대할 수 있다.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우리의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공유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라며, “통합수자원관리기술의 개발에는 다
양
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긴밀하게 협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전문분야별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는 연구성과가 하나로 통합되기 위해서는 미리부터 조율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공익에 기여하는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