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철민의 돈테크무비] 소니의 화려한 부활은 애완로봇 아이보로 완성될 수 있을까?
2017.11.26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과 로봇을 호의적으로 다룬 이 영화에서, 테디가 교감하는 대상은
인간
소년 마틴이 아니라 인공지능 로봇 데이빗(할리 조엘 오스먼드 분)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은 한번쯤 깊이 생각해볼 여지를 남긴다. ※ 필자소개 이철민. 학부에서 계산통계학을 전공하고 국내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
2017.11.25
않을까 싶다. 1) 자신을 과소평가하지도 반대로 과대평가하지도 않는 정확한 자기지각 2)
인간
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약점들을 부끄러워하지 않기 3) 흠결없는 완벽한 사람으로 보여지기 위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지 않기 4) 지구가 나를 중심으로 돌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게 나 때문일리가 ... ...
[카드뉴스] 재난은 우리를 어리석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5
인지하지 못함 기능적 고착: 상황이나 물건의 사용법을 유연하게 해석하지 못함 패닉형
인간
은 사건을 좀 더 객관적으로 보고 심리적으로 안정될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재난상황은 그런 여유를 주지 않아 끔찍한 결말에 이르기도 합니다. ● 우유부단형 어떻게 할까 고민만 계속 경고음이 ... ...
비트코인보다 낫다? 원자번호 79번, 어떻게 만들어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1.23
곤잘레스 짐러레즈 교수는 “대륙지각 밑으로 70㎞, 해양지각 아래로 17㎞ 정도가
인간
이 여러 장비를 통해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한계점”이라며 “결국 지질 작용을 통해 마그마가 분출될 때 나오는 물질을 분석해 이보다 더 깊은 지구 내부의 상태를 추정한다”고 말했다. 그는 “깊은 맨틀에서 ... ...
[카드뉴스] 옆집 할아버지는 왜 항상 화가 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1.23
일부 폭력적 범죄자들의 경우 뇌검사를 하면 전두엽 기능이 저하돼 있습니다.
인간
의 전두엽은 청장년이 돼서야 비로소 성숙해집니다. 전두엽이 퇴화된 노인이 감정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전두엽 기능이 미성숙한 사춘기 청소년과 닮았지요. 전두엽은 젊은 시절에 교육을 덜 받거나 과음을 많이 할 ... ...
사진같은 그림 ‘꿀이 흐르는 얼굴’
팝뉴스
l
2017.11.22
작품이다. 독일 쾰른에서 활동하는 마이크 다르가스의 작품이다. 마이크 다르가스는
인간
의 복잡성을 표현한다는 어려운 평가를 받는데, 위 작품들은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여성을 구경거리 만들었다거나 사물화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그런데 화가의 작품 중에는 여자 뿐 아니라 ... ...
임신 중 먹는 음식물, 알레르기 확률 오히려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0
주입한 후 수유할 때에도 새끼 쥐에서 알레르기 저항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했으며,
인간
의 모유 역시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오요시 박사는 “같은 양의 항체를 주입했을 때 사람마다 알레르기 저항성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아직 개인차가 나타나게 되는 세포 내 미세 조정 ... ...
머리 안 나는 '망가진 모낭'도 회복...탈모 치료 새 가능성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0
전에 먼저 다가가 마치 포승줄로 묶듯 꽁꽁 묶어 두는 물질이었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인간
모낭 세포와 쥐 세포에 주입한 결과 실제로 방해꾼 단백질이 억제되고 머리카락이 빠르게 회복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특히 모낭을 만드는 모낭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며 ... ...
‘뉴런’, 십자매의 완벽한 화음 비밀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7.11.20
영역이 상호 작용해 십자매가 노래를 학습하는 것”이라며 “십자매 연구를 발전시키면
인간
의 인지행동 장애를 연구하는 데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영아 때 물건이 무엇인지 인식한 뒤 그 무게에 맞는 힘으로 들어올리는 법을 배우는 것이 십자매가 음절을 인지해 각기 다른 ... ...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며 “하지만 모든 개체가 유전적으로 유사하게 되어
인간
이나 환경의 위협 같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개체군이 크고 안정적인 종일지라도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멸종할 수 있다’는 것이 교훈이라고 밝혔다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