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적 사고력에 진짜 도움이 될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하니까 차례대로 배열할 수 없어. 로이드의 재치가 돋보이는 퍼즐이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퍼즐 효과, 그것이 궁금해!PART 1 수학퍼즐이 뭐기에 PART 2 수학적 사고력에 진짜 도움이 될까?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PART 4 수학퍼즐 200배 ... ...
PART 3. 수학은 집중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결정한 학생들에게는 더 이상 수학을 강요하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발리에서 생긴 일 세계 청소년, 수학을 즐기다!PART 1. 수학은 언어다! PART 2. 수학은 놀이다!PART 3. 수학은 집중이다!PART 4. 수학은 흥미다!PART 5. 수학은 참여다 ... ...
PART 5. 수학은 참여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뜨거워진다는 국제수학경시대회는 내년을 기약하며 화려하게 막을 내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발리에서 생긴 일 세계 청소년, 수학을 즐기다!PART 1. 수학은 언어다! PART 2. 수학은 놀이다!PART 3. 수학은 집중이다!PART 4. 수학은 흥미다!PART 5. 수학은 참여다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전북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태풍도 폭우도 수학동아 MIE를 막을 순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비가 오기 시작해 군산에 도착할 즈음에는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도착한 다음에도 비가
계속
왔어요.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원장인 유수창 화학과 교수님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기숙사 식당에서 점심을먹으며 수업에 참여할 학생들에 대해 들었습니다. 유수창 원장 선생님은 “사교육을 잘 받은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글쓰기에 관심이 있다면 게임 시나리오를 쓰는 것도 좋을 것 같아. 게임 산업은
계속
발전하고 있고, 교육용 콘텐츠나 3차원 영상과도 접목한다면 훨씬 다양한 길이 있을 거야.” “그런데 컴퓨터공학과에 진학하는 걸 부모님이 반대하세요. 너도 나도 가는 학과라서 비전이 없다고요.” “그렇지 ... ...
INTRO. 폭우 도시를 삼키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무엇이 이런 도심 재해를 불러왔을까. 예측하거나 막을 수는 없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폭우 도시를 삼키다PART 1. 산사태PART 2. 도시 홍수기획 : 윤신영·김종립 기자디자인 :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어지간한 도시나 마을치고 산 한둘 접하지 않은 곳이 없다. 사실상 우리는 산 밑 아니면 산 옆에 살고 있다. 우리와 비슷한 산악 국가인 ... 곳과 오목한 형태를 띤 곳이 경사가 급하거나 볼록한 곳보다 위험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폭우 도시를 삼키다PART 1. 산사태PART 2. 도시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대명사처럼 불리는 ‘바티스카프’다.피카르 교수는 여기서 중단하지 않고 연구를
계속
해 바티스카프의 다음 모델인 ‘트리에스테’를 개발했다. 이 잠수함은 1953년 4049m까지 잠수하는 데 성공했다. 1957년 미국 해군연구소는 피카르 교수로부터 트리에스테 호를 사들여 여러 곳을 개조해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걸으며 생물이 있을 만한 곳을 삽이나 곡괭이로 10cm 정도씩 팠다. 이 방법도 15분 동안
계속
하며, 발견한 생물은 다른 봉투에 담았다. 이때 아무 땅이나 파는 것이 아니다. 갯지렁이같은 갯벌생물은 갯벌을 파고 흙이나 모래를 먹은 뒤 찌꺼기를 몸 밖으로 배설하면서 작은 경단이나 화산 분출구를 ... ...
아시아 이공계 대학이 뜬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지난해 9월 17일자 ‘사이언스’에서 “과거에는 서양으로 유학을 온 아시아계 학생들이
계속
해서 외국에 머물고 싶어 했는데, 최근에는 고국으로 돌아가 후학을 양성하려 한다”며 “이들이 아시아 대학을 개방적이고 창의적으로 바꾸는 데 일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 풍토도 좋아졌다.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