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꼬인 칼레이도사이클이 만들어진 것이죠. 또 이 도형은 뫼비우스 띠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사면체가 제멋대로 움직이지 않고 일정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뫼비우스 띠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도형입니다. 종이 띠를 비틀어 양쪽 끝을 붙이면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도 ...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공부뿐 아니라 인생에서 필요한 경험을 모두 해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연구를 할 때도 다른 연구자들과 교류하면서 연구 주제를 찾고, 협력해서 풀어야 해서 사람들과 어울리고 소통하는 경험을 해봐야 하죠. 실제로 다양한 경험을 한 사람이 좋은 연구자가 되기도 하고요. 학부모님께는 이런 ... ...
- [알고리듬 시그널] 완벽한 답을 찾기 어려울 땐 근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개수의 집합으로 나누고 집합마다 중심이 되는 점을 선택하는 문제죠. 다만 점을 선택할 때 가장 큰 집합의 지름이 최소가 되도록 점을 골라야 해요. 클러스터링 개념을 충분히 이해했다면 다음 시간에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이 어떻게 최소 지름을 찾는지 알려드릴게요. 그럼 전 견우를 도와주러 ... ...
- [퍼즐마스터] 뉴욕의 퍼즐 고수 ‘앤서니 유노’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퍼즐 아이디어가 많이 떠올라서 머릿속에 기억해 둔 뒤 아침에 퍼즐을 만들죠. 퍼즐을 풀 때는 조용한 장소로 가요. 그리고 집중해서 풀죠. 하지만 첫 시도에서 풀리지 않으면 문제를 묵혀 뒀다가 얼마 뒤에 다시 돌아와서 풀어 봐요. 그러면 신기하게 잘 풀리더라고요. Q 퍼즐이 수학적인 사고에 ... ...
- [수학 기자의 책장] 다양한 기술 속 코딩과 수학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어디서 수학을 찾을 수 있냐고요? 답은 바로 코딩입니다. 여러분은 수학 문제를 풀 때 어떻게 하나요? 구하고 싶은 값을 미지수로 두고 방정식을 세워서 풀죠. 복잡한 문제를 단순하게 바꿔서 풀기도 합니다. 코딩은 이런 문제 해결 과정을 컴퓨터 언어로 옮기는 작업입니다. 너도 나도 쓰는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절대적인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어요. 단지 다른 동물과 비교했을 때 지능이 더 뛰어나거나 도구를 훨씬 더 많이 쓰는 등,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뜻이죠 ... ...
- Part 4. 인터뷰 - 저 멀리 ‘개토피아’를 찾아서! 언더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아파트에서 키울 수가 없지요. 양떼를 몰 정도로 똑똑하고 활달하거든요. 펫샵에서 새끼 때 모습을 보고 귀엽다고 샀다가 몸집이 커지니 힘들어서 버리기 쉬운 종으로 보더콜리를 고른 거예요. 그밖에 ‘개코’는 사람이 없는 곳으로 유기견을 안내하는 캐릭터니까 탐지견으로 활약하는 ‘셰퍼드’ ...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아니에요. 현실에서 지카 바이러스나 메르스 등 위험한 바이러스가 빠르게 퍼질 때 어떻게 대처해야할 지를 미리 알아보기 위해서지요. 2015년, 좀비 바이러스의 전파를 연구한 미국 코넬대학교 알렉스 알레미 연구원은 “좀비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도시 지역에서 벗어나 한산한 ... ...
- [이달의 PICK] 올해는 너로 정했어, ‘루비 초콜릿’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에탄올을 아세트산으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산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한다. 이때 단백질이 여러 아미노산으로 분해 되면서 다양한 풍미가 생긴다. 결국 다양한 균이 카카오빈을 발효시키면서 에탄올과 아세트산, 젖산, 알데히드, 케톤,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피라진 그리고 다양한 휘발성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녹화 시작부터 온라인 전송까지 계획한대로 실행될 수 있다. 이제 도둑이 상자를 들 때에 맞춰 이어폰 버튼만 눌리면 됐다. 이것은 메이커들의 주특기인 아두이노 보드로 이뤄냈다. 가로세로 3cm 크기의 아두이노 보드에 가속도계를 달아 상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그 즉시 이어폰 버튼이 눌리도록 ... ...
이전470471472473474475476477478 다음